1995년 1월 25일 영국 상선 S.S. 리마 호는 소말리아 해안에서 동쪽으로 240㎞ 떨어진 인도양 북서부를 항해 중이었다. 그런데 달은 없지만, 한없이 맑은 밤바다의 수평선에서 희미한 빛이 보이기 시작했다.
약 15분 후 이 배는 희미한 빛 속으로 들어가 우윳빛의 바다에 완전히 둘러싸였다. 마치 눈밭이나 흰 구름 위를 항해하는 듯한 느낌이었다.
사실 꽤 오래전부터 먼 바다를 항해하는 선원들은 ‘우윳빛 바다(milky seas)’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다. 창백한 우윳빛 바다가 수평선 끝까지 펼쳐진 광경에 대한 목격담이 19세기부터 200건 이상 기록되어 왔던 것.
구형 위성이 촬영한 이미지(왼쪽)와 주야간 밴드 위성이 촬영한 이미지(오른쪽)의 비교. ©Colorado State University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목격담을 오랜 항해에 지친 선원들의 허황된 이야기나 망상에서 나온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일축했다. 이 이상한 현상에 대해 어떠한 설명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리마 호가 목격한 우윳빛 바다 역시 그런 괴담 중의 하나로 묻히고 말았다.
그런데 그로부터 10년 후 리마 호의 목격담은 사실임이 밝혀졌다. 미국 몬터레이 해군연구소의 스티븐 밀러 박사팀이 국방기상위성프로그램과 극궤도 위성을 이용해 당시의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리마 호가 항해한 날짜와 시간에 인도양 북서부에서 약 1만 3000㎢ 면적의 희미한 광선 영역이 나타나 있었던 것.
지구 상에서 가장 거대한 생물발광 현상
연구진은 그 같은 현상의 실체를 알아내기 위해 자료를 조사하던 중 1985년에 한 연구선이 아라비아 해에서 3일 동안 우윳빛 바다를 항해하면서 바닷물 샘플을 채취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 샘플에는 ‘비브리오 하베이(Vibrio harveyi)’라는 발광성 박테리아가 가득했다.
널리 알려진 해양의 발광성 박테리아는 적조 현상을 일으키는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s)’다. 그런데 짧은 빛을 방출하는 와편모조류와 달리 비브리오 하베이는 희미하고 지속적인 빛을 낸다.
연구진은 이 작은 박테리아가 4×10의 22승 마리로 증가했을 때 거대한 우윳빛 바다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무엇이 비브리오 하베이를 그처럼 엄청난 숫자로 모으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약 10만㎢ 이상에 걸쳐서 균일한 빛으로 며칠 밤 동안 지속되는 우윳빛 바다는 지구 상에서 가장 거대한 생물 발광 현상이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 왜 우윳빛 바다가 형성되는지 예측하는 것은 현대 과학의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그런데 이 매혹적인 자연 현상에 대해 훨씬 더 깊이 접근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최근에 발표됐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의 연구원들이 10년에 걸친 위성 데이터를 사용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방식으로 12차례의 우윳빛 바다 현상을 찾아낸 것이다.
콜로라도주립대학 기상위성전문연구기관(CIRA)으로 자리를 옮긴 스티븐 밀러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의 지구관측위성 수오미 NPP(Suomi NPP)와 NOAA-20 위성을 이용해 아프리카 북서쪽 인도양 앞바다와 인도네시아 주변 해역에서만 주로 발생하는 우윳빛 바다의 이미지를 수집했다.
주야간 밴드(Day/Night Band)라는 장비를 포함해 다양한 센서가 장착된 이 두 개의 기상위성은 밤과 같은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도 매우 약한 양의 가시광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다른 위성이 볼 수 없는 우윳빛 바다 현상도 뚜렷하게 감지해낼 수 있다.
발광체 모으는 요인은 밝혀지지 않아
연구진은 2012년부터 2021년 사이에 우윳빛 바다 현상이 자주 보고되는 3곳의 주야간 밴드 관측치를 주의 깊게 분석한 결과, 12차례의 발생 사례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사실 우윳빛 바다가 만들어내는 빛을 포착하기란 매우 힘들다. 바다 표면에서 반사되는 희미한 달빛이나 구름에 의해 반사돼 상부 대기로 방출되는 빛 등이 신호를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 같은 빛들 배제하기 위해 위성 데이터 신호를 주의 깊게 분석함과 동시에 정교한 기술을 사용해 바다에서 지속적으로 빛을 방출하는 생물 발광 구조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자바 섬의 도시 인공조명(위쪽)과 우윳빛 바다 이미지가 대비된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된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윳빛 바다 현상은 북서 인도양의 계절풍(몬순)과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계절풍은 영양이 풍부한 바닷물을 만들지만, 다른 발생 지역에서는 계절풍과의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았다.
이는 우윳빛 바다 현상이 나타날 때 어떤 다른 요소가 바닷물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낮에는 시야에서 사라지고 밤에만 지속적으로 빛나는 우윳빛 바다 현상은 해류와 함께 움직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이 같은 위성 데이터를 이용해 우윳빛 바다 현상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곳에 연구선을 바로 배치해 과학적인 샘플링 작업을 하면 오랫동안 뱃사람들 사이에서 전설로만 떠돌던 우윳빛 바다의 미스터리를 완전히 파헤칠 수 있기 때문이다.
(275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