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의 내용은 최신 논문과 연구를 기반으로 일반 정보만을 제공하며 의료 전문가의 의학적 및 식이 요법 정보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비건 인구
채식주의자(Vegetarian)는 동물성 식품을 제한하고 과일·채소·곡물 등의 식물성 식품만을 섭취하는 식습관을 가진 사람들을 일컫는다. 때에 따라서는 어류를 섭취하거나 난류(알), 유지방 등을 섭취하는 채식주의자도 있지만, 육류, 가금류, 어류를 포함하여 유제품까지도 섭취하지 않으며 해조류와 과일 및 채소만 섭취하는 사람들로 완전한 채식주의를 실천하는 비건(Vegan: 완전 채식자)도 있다. 비건은 소를 숭배하며 고기 없는 식단이 가능한 인도를 중심으로 퍼져 나갔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인도에는 현재도 약 4억 명(인도 인구의 약 40%에 해당)의 채식주의자들이 있으며 다양한 식물 요리들이 탄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채식주의자가 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신체적으로 육식을 받아들이지 못하는(신체적 이유) 사람도 있지만 낙농 산업, 특히 송아지에게 가해지는 잔인함을 이유(윤리적 이유)로 채식주의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대량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축산과 낙농을 반대하기 위하여(환경적 이유) 채식주의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여러 채식 주의 식단. 비건은 과일 및 채소등만 섭취하는 식단 주의자들을 일컫는다. ⓒ karma-free-cooking.com
채식주의자는 “Veganuary”(사람들에게 한 달 동안 완전한 채식만을 하도록 권장하는 캠페인)와 같은 캠페인 등을 통해서 육류 및 유제품이 없는 식단의 이점에 대해서 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전 세계적으로 채식주의자 및 비건의 인구는 더 늘어나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도 식물성 식단이 성인에게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강제로 비건이 되는 아이들 – 과연 건강에 문제가 없을까?
인도에서는 현지 곡물, 콩류 등의 영양학적 힘을 주장하며 “Cooking with Millets(조 및 수수류와 함께하는 요리)”와 같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를 통해서 렌즈콩, 병아리콩, 녹두와 같은 오래된 재료의 이점을 주장하고 있다. 문제는 알레르기와 같은 신체적 이유로 채식주의자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부모의 종교적 이유를 통해서 아이들마저 강제로 비건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아이들의 선택이 아니며 모든 영양소가 필요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자칫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과연 완전 채식은 아이들에게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을까?
Cooking with Millets 캠페인을 소개하는 요리책 ⓒ Reshma Seetharam
비건 부모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성장하는 어린이의 각 발달 단계에 특정 영양소가 꼭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또한 적절한 시기에 특정 영양소가 부족하게 되면 어린아이들에게 상당히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정 음식을 통해서 보충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음식에 특정 영양소가 소량만 들어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채식주의 식단은 아이들에게 문제가 없을까? ⓒ healthline.com
실제로 잘못된 채식주의가 낳은 여러 나쁜 사례들이 있다. 2016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한 살짜리 아이가 채식 식단을 따른 후 매우 낮은 칼슘 수치를 보여 아이의 부모가 부모 권리를 박탈당한 일이 있다. 2017년 벨기에서는 부모가 아이에게 귀리, 메밀, 쌀, 퀴노아로 만든 식물성 우유를 먹인 후 탈수와 영양실조로 7개월 된 아이가 사망한 사건도 있었다. 이처럼 성인이 아닌 아이들 특히 유아에게는 완전 채식 식단에 큰 한계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채식주의 어린이들 – 성장기는 약간 길어질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골밀도 발견
University College London의 Great Ormond Street Institute of Child Health 소아 영양학자 메리 페트웰(Prof. Mary Fewtrell) 교수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와 어린이는 빠르게 성장 및 발달하기에 특정 영양소에 대한 요구량이 매우 높다고 한다. 이는 영유아와 아이들이 섭취하는 적은 양의 음식에도 최대한의 영양소와 충분한 에너지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페트웰 교수에 따르면 모유는 성장에 필요한 영양과 에너지를 전달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지며, 유아의 경우 완전 채식 식단이 필요에 맞게 신중하게 계획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 조나단 웰스 박사(Dr. Jonathan Wells)에 따르면 완전 채식 아동의 평균 키가 3cm 정도 더 작았지만, 성장이 저해되어서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웰스 박사는 채식주의자 아이들은 지방량도 적고 체중도 적게 나가는 경향이 있었다고 밝히며 이 때문에 그들이 사춘기에 조금 늦게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사춘기에 늦게 도달하는 아이들이 실제로 더 오래 성장하는 경향이 있기에 성장 기간이 약간 연장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사춘기에 늦게 도달한 아이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낮은 골밀도가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서 웰스 박사는 심혈관 질환이 나아지는 대신 뼈 질환 질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고 밝혔다.
보통 뼈는 20대 초반에 최적의 밀도에 도달하는데, 그 당시에 뼈 밀도가 정상적으로 구축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난 후에는 정상적인 골밀도를 얻기 힘들다. 또한 성인기에 골밀도가 낮은 사람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서서히 낮아지는 골밀도 때문에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에 더 취약해진다.
균형이 부족한 채식 식단
하지만 이보다 더 놀라운 연구 결과가 공개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바로 완전 채식 어린이들은 피자와 청량음료와 같은 정크 푸드를 더 많이 먹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는 채식 식단 자체가 균형 잡힌 메뉴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 미국의 영양 및 영양학 아카데미(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에 따르면 균형 잡히며 잘 계획된 채식 식단 및 완전 채식 식단은 임신기, 유아기 및 아동기를 포함한 모든 생애 단계에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미 예견되었듯이 잡식성 동물의 예상 단백질 섭취량이 가장 높았고 비건의 단백질 섭취량이 가장 낮았다. 칼슘 섭취량은 일반 채식주의자의 섭취량이 가장 높았지만, 비건의 섭취량이 가장 낮았다. 또한 대략 1명 중 3명의 일반 채식주의나 비건 어린이들은 B12 보충제나 B12 강화식품을 전혀 섭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보충제의 여부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들을 건강하게 섭취하는 것에 대한 지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채식주의 식단은 어린이에게 안전하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식물성 중심 식단(비건이 아닌 일반적인 채식주의)이 어린이에게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미국에서 생후 6개월에서 8세 사이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채식주의 식단을 사용하는 어린이의 성장이나 영양 상태가 일반적인 음식을 섭취하는 어린이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단지 채식주의자 (비건 포함) 어린이들은 저체중일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 소아 청소년 의학협회(German Society for Pediatric and Adolescent Medicine)는 2019년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채식주의자(비건 포함)의 식이습관 관한 논문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다만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채식주의 식단은 소아과 의사의 감독이 반드시 필요하며 완전 채식주의자는 반드시 B12를 보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실 육류 위주의 식단은 육류와 우유에서 발견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자체적인 위험을 내포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과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집약적 농업에서의 보다 긴 착유 기간으로 인해 우유의 에스트로젠 농도가 더 짙어질 수 있는데 이는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아이들의 정자 수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아이들의 성장 및 발달을 방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유에 함유된 에스트로젠의 양이 성인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너무 옅은 농도이며, 발달 초기 단계에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우유가 어린이들에게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아이들의 채식주의 – 철, 지방,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이 공급되어야 한다
아이들이 채식주의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철(콩, 렌즈콩, 두부 등)과 지방(아보카도, 견과류 버터 등)이 풍부한 식품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여러 대체품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유제품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는 아몬드와 코코넛 추출물로 우유를 대체할 수 있으며, 캐슈와 감자로 치즈와 비슷한 음식을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땅콩과 우유로 요구르트를 대체할 수 있다.
단백질, 칼슘, 비타민 A, B, 철분, 황 등이 풍부한 렌즈콩 ⓒ Hohum
Aster CMI 병원의 임상 영양사 에드윈 라쥐(Edwina Raj)는 일부 완전 채식주의자가 정제된 밀가루 및 탄수화물에 너무 많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단백질은 표준체중 1kg당 대략 1g 정도가 필요하므로 체중에 따라서 철저하게 식사가 계획되어야 한다. 렌즈콩, 말린 완두콩 및 콩 등은 고품질 단백질 공급원으로 권장된다.
미국 미니애폴리스에 거주하는 완전 채식 소아 영양 코치 카를라 모레노브루스(Karla Moreno-Bryce)는 건강한 완전 채식 식사의 계획은 비교적 어렵지 않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비건 어린이를 위한 식사 준비는 다양한 식물성 식품과 식이 보조제(철, 아연, 요오드, 오메가-3, 칼슘, 비타민 D, 비타민 B12)를 통해서 하루 동안 주요 영양소 공급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식물성 식품에 부족한 영양소인 비타민 B12 보충제를 먹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329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