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을 낀 사람들에게 희소식이 있다. 안경을 쓰지 않은 사람들과 비교해 더 영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31일 ‘가디언’ 지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 연구진은 영국 바이오뱅크(Biobank) 등 에 보관된 16~102세, 30만486명의 인간 유전자를 대상으로 인지 데이터(cognitive data)와 유전자 데이터(genetic dat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사람의 인지기능·반응시간(reaction time)과 신체 건강변수(health variables) 간에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반응시간이란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인지한 후 반응을 나타낼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16~102세, 30만486명의 유전자 분석
연구진은 반응시간을 포함한 인지기능과 건강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높은 지적 능력을 갖춘 사람일수록 더 많은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 능력이 높을수록 건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혈압과 협심증, 폐암, 우울증 등에 있어서는 부정적 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력이 약해져 안경을 써야 할 유전적 형질을 지녔을 가능성이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이 높을수록 안경을 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관련 논문은 지난 30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 Study of 300,486 individuals identifies 148 independent genetic loci influencing general cognitive function’이다.
정신분석학자들에 따르면 인지(cogniton)이란 정신이 지식을 습득하고, 변형시키고, 부호화하고, 저장하는 과정 모두를 포함한다. 지각, 이미지, 개념 형성, 사고, 판단, 상상력 등 모든 사고과정이 여기에 포함된다.
사람의 지각 능력, 문제해결, 기억, 사고, 언어능력, 운동제어 등의 심적 기능을 총칭하는 말이다. 정신분석학자들을 비롯한 많은 과학자들은 사람마다 다른 이 인지 기능에 따라 그 사람의 인생이 결정된다고 판단해왔다.
그리고 최근 유전학자들을 통해 인지 기능과 DNA와의 관계가 밝혀지고 있는 중이다. 에든버러 대 연구팀도 그중의 하나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16~102세, 30만486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인지기능과 관련된 특징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148개의 부위(independent loci)에서 발견한 709개의 유전자를 분석했고, 그 결과 사람마다 인지기능, 반응시간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런 특징들이 신경변성질환, 신경발달장애, 정신질환, 뇌구조 등과 연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안경에 대한 불편한 인식, 변화할 듯
뛰어난 인지 기능을 지닌 사람들의 경우 어릴 적부터 그 상태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를 들어가면서도 건강한 삶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장수로 이어질 가능성 역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인지 기능과 시력 간의 상관관계다. 그동안 지적 능력과 시력 간의 상관관계를 놓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DNA 분석을 통해 그 관계가 유전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논문 저자 중의 한 명인 게일 데이비스(Gail Davies) 교수는 “그러나 이 연구 결과가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원리를 적용할 경우 잘못된 인종적 편견 등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
‘가디언’ 지는 그러나 학자 등 지적 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안경 낀 사례가 많은 점에 비추어 이번 연구 결과가 지적 능력과 시력 간에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고 평했다. 실제로 안경 낀 사람들의 인지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연구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고 있다.
일부 논문들은 안경 낀 사람들이 더 근면하고(industrious), 정직하며(honesty),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는(dependable) 내용의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이런 이유로 변호사들은 자신이 맡은 피의자들에게 안경을 끼고 법정에 서도록 권유하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변호사인 하비 슬로비스(Harvey Slovis) 씨는 최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를 통해 “안경을 쓰면 호감을 갖고 대상이나 사물을 보게 돼 범죄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기고한 바 있다. 그는 자신이 변호를 맡았던 많은 사건을 진행하면서 이런 사실을 경험했다고 말했다.
팝 아티스트들 역시 안경을 선호하고 있다. 영화, 광고, 뮤직 비디오 등 다양한 영상 속에서 안경은 지식을 상징하는 도구다. 일부 여성들도 안경을 활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지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미국의 SF 소설가이면서 생화학자, 과학해설자였던 아이작 아시모프 (Isaac Asimov, 1920~1992)는 그의 수필 ‘무지의 문화(The Cult of Ignorance)’에서 안경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한 바 있다.
안경이 (시력을 보완해야 할) 제 기능이 아닌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 지적 능력을 보여주는 안경이 패션화하면서 사회적으로 지성을 판단하는데 방해를 받고 있다는 것. 이로 인해 또 다른 불행이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에든버러대 연구를 통해 인지 기능과 시력 간의 관계가 밝혀진 것은 그동안 말로만 무성했던 안경에 대한 상식을 뒷받침해주는 것이다. 향후 DNA 분석을 통해 더 자세한 상관관계가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2989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4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