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개국의 총 50만 명에 달하는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3년에 한 번씩 2시간 동안 치르는 시험이 있다. 국제학생평가시험의 준말로서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라고 불리는 시험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이 시험의 채점 방식은 좀 특이하다. 학생들이 시험을 보고 나면 국가 이름을 지운 후 그 결과를 분석하기 때문. 이렇게 하는 이유는 채점관들이 특정 국가에 대해 지닌 편견이 결과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소득 불평등 수준이 높은 사회일수록 아이들의 수학 점수가 평균적으로 더 낮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PISA는 다른 시험과 달리 학생들의 암기력을 측정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 시험은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문제들을 풀게 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패턴을 보여주고 패턴에 대한 조리 있는 주장을 적도록 함으로써 사고 능력을 평가한다.
이 시험을 총괄하는 OECD는 2012년에 좀 특별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해 실시한 PISA에서 평가를 치르는 아이들에게 부모의 학력과 직업을 기입하도록 한 뒤 이를 국가별로 비교 가능한 범주로 나눈 다음 부모 직업과 아이들 성적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
부모의 직업군은 9개로 분류되었는데, 고숙련 직업군은 경영인이었으며, 그다음은 전문직 등에 이어 마지막 분류군은 주방보조 등이 포함된 기초직업군이었다. 분석 결과 대부분 국가에서 전문직 부모를 둔 아이들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수학에서 높은 성적을 보였으며, 부모 직업과 아이 성적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적은 과목은 읽기인 것으로 드러났다.
소득 불균형은 부유한 학생들에게도 영향 미쳐
우리나라에서 진행한 연구 결과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 2013년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초중고 재학생 4만여 명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한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라 자녀의 수학 성적은 최대 19점까지 벌어지는 것으로 밝혀진 것. 또한, 부모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었던 과목은 국어였다.
그런데 부모의 소득 수준만큼이나 아이들의 수학 점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요인은 앞선 연구 결과들처럼 수학 점수에는 큰 영향을 주지만 읽기 점수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미국의 연구진이 밝혀낸 그 요인은 바로 ‘소득 불평등’이다.
소득 불평등은 정신건강 문제, 신뢰 부족, 높은 범죄율 등을 비롯한 수많은 건강 및 사회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이혼, 약물 남용, 아동학대의 높은 비율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미주리대학 캔자스시티캠퍼스의 사회학자 조셉 워크맨(Joseph Workman) 교수는 1992년부터 2019년까지 4학년의 NAEP 수학 및 읽기 결과를 50개 주의 소득 불평등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했다.
미국 미주리대학 캔자스시티캠퍼스의 사회학자 조셉 워크맨(Joseph Workman) 교수.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국가학업성취도평가(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의 약자인 NAEP는 미국 교육부 산하기관인 국립교육통계센터가 4학년과 8학년을 대상으로 2년마다 실시하는 미 전역의 초중등학생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대표적 시험이다.
분석 결과 소득 불평등 수준이 높은 주일수록 수학 점수가 평균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득 불평등은 가난한 학생들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가난한 학생들과 부유한 학생들 모두에게 낮은 성취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빈곤층의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고소득층으로의 소득 집중이 학업 성취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읽기 점수는 소득 불평등과 상관관계 낮아
추가 분석에 의하면 소득 불평등 수준이 가장 크게 증가한 주의 경우 그렇지 않은 주보다 수학 성취도가 더 낮았다. 그러나 읽기 점수는 전반적으로 소득 불평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전문 출판사 ‘‘테일러 앤드 프랜시스 그룹(Taylor &Francis Group)’이 발간하는 학술잡지 ‘교육리뷰(Educational Review)’에 게재됐다.
미국의 소득 불평등은 지난 세기 동안 U자형 패턴을 보였다. 즉, 1910년대에서 1930년대에 가장 높았으며, 194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약간 떨어졌다가 최근 들어 다시 상승한 것이다. 오늘날 미국의 소득 불평등 수준은 선진국 중에서도 가장 높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조셉 워크맨 교수는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는 것이 학교나 커리큘럼을 개혁하는 것보다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소득 불평등이 수학 및 읽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이 다른 연령대에도 적용된다는 예비 증거도 제시했다.
그러나 영국처럼 소득 불평등이 높은 다른 선진국에도 비슷한 패턴이 존재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202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