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런 상황을 스트레스(stress)라고 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 스트레스가 사람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게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심지어 미생물들도 스트레스를 느끼며 살고 있다.
13일 ‘사이언스 데일리’에 따르면 스웨덴 칼머기술대학교(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연구진은 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이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사람은 물론 모든 생물 세포들이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관계자들은 이 기술이 향후 스트레스 관련 질환 치료는 물론 맥주 제조법 개발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첨단 기기를 통해 세포들이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 실체가 밝혀지고 있다. 사진은 미생물 효모를 통해 맥아(엿기름)가 맥주로 변화하는 장면.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효모 성질을 이용해새로운 맥주 개발이 가능해졌다. ⓒWikipedia
세포 내에서 규칙적으로 스트레스에 반응
칼머기술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살아있는 모든 유기 조직체들은 도전적인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실제로 세포나 미생물들은 새롭게 직면한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압박감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복합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그리고 분자 차원에서 새롭게 생성된 결정체를 새로운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세포들이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하기 위해 빵이나 맥주‧포도주 등을 만들 때 ‘출아형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했다.
효모는 당분을 알코올로 전환시켜 준다. 포도즙이 포도주로 변화하는 것은 이스트의 발효 기능 때문이다.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맥주 역시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를 발효시킨 결과다.
연구팀은 정상적인 효모가 활동하고 있는 환경에 농도를 강화하거나 소금, 설탕 등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유도했다.
그리고 효모 세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자 차원에서 정밀 관찰한 결과 다양한 효모들이 여러 유형의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미생물 고유의 특별한 규칙에 의해 글리세롤(glycerol)을 분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리세롤은 지방족 3가 알코올 중의 하나로 무색무취에 단맛이 나고 끈기가 있는 물질이다. 관장, 윤활, 보습 등을 위한 약물, 또는 건조방지용으로 음식물의 보존에 사용된다.
연구에 참여한 칼머기술대 생물‧물리학자 다니엘 미트베트(Daniel Midtvedt) 교수는 “새로 고안한 기기로 세밀한 분석을 시도한 결과 효모에서 자체적인 규칙에 의해 이 글리세롤을 배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새로운 의약품, 식품‧음료 개발 가능해져
미트베트 교수는 “효모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역시 스트레스에 직면해 유사한 대응을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교수는 “의학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발견”이라며, “이 원리를 사람의 스트레스 방어기제에 적용할 경우 그동안 힘들었던 스트레스성 질환 치료에 큰 도움을 주고, 새로운 맥주 등 발효식품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 논문은 ‘네이처’ 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 Label-free spatio-temporal monitoring of cytosolic mass, osmolarity, and volume in living cells’이다.
논문 작성에는 칼머기술대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다니엘 미트베트(Daniel Midtvedt), 에릭 올센(Erik Olsén), 프레드릭 효크(Fredrik Höök), 가빈 제프리스(Gavin Jeffries) 교수 등이 참여했다.
칼머기술대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스트레스에 대한 미생물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생물‧물리학적 방법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효모와 같은 세포들이 새로운 환경 변화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이처럼 비외과적인(non-invasive) 측정방식을 개발해 사용한 것이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를 시작한 것은 2015년이다. 새로운 연구를 위해 연구팀은 레이저 빔을 투사해 3차원에서 세포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현미경(holographic microscopy)을 개발했다.
정밀한 관찰을 통해 레이저 빔을 두 갈래로 투사했다. 하나는 대상을 투사하고 다른 하나는 주변 환경을 투사하는 방식이다. 물질 이동 등의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형광 물질을 사용했다.
이 방식을 통해 연구팀은 세포에 어떤 외부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 내부적인 상황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칼머기술대 연구팀은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화학을 의학에 적용한 기존 생물의학(biomedicines)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찾기 위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특히 의약품 개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프레드릭 효크 교수는 “현대인들에게 난치병으로 부상한 스트레스성 질환 치료를 위해 새로운 개념의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영국의 제약회사인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교수는 또 “효모균의 성질을 활용해 새로운 식품과 음료를 개발하는 일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시도를 통해 그동안 사람들이 찾고 있었던 새로운 맛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명했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 심리적인 차원에서 다뤄왔고 화학, 물리적 관점에서 그 원인이 밝혀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세포를 대상으로 분자 차원의 스트레스 반응 기제가 밝혀짐에 따라 과학자들의 스트레스를 규명하려는 노력에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697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