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이동통신업체 보더폰(Vodafone)이 드론의 공항 무단침입, 마약 밀수 등을 근절할 수 있는 새로운 항공 통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0일 ‘텔레그래프’ 지가 보도했다. 이는 새로운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드론 택배 등 관련 산업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드론택배를 시도하고 있던 업체들은 드론이 너무 작아 기존의 레이더 시스템으로는 드론 비행궤적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보다폰에서 항로를 이탈한 드론을 통제하는 등 드론 항공노선을 실시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이 무선 위치파악 시스템(RPS, Radio Positioning System)은 최장 50m 간격으로 드론 비행궤적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다. 드론이 예정된 항로를 벗어날 경우 강제로 착륙시키거나, 출발지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다.
드론과 다른 항공기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 비행통제 시스템(RPS)이 이동통신업체 보다폰을 통해 개발돼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사진은 배달용으로 개발된 아마존의 택배 드론. ⓒamazon.com
충돌사고 막을 수 있는 무선통제 시스템
이동통신업체 보다폰은 그동안 드론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무선통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유럽전자통신규제기구(BEREC)와 공동으로 양 날개 길이 1.3m, 무게 2kg의 X-UAV 드론을 대상으로 공동 작업을 벌여왔다.
그리고 스페인 세비야 주 이슬라 마요르 시 32km 구간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RPS(레이더 위치기호), GPS(지구 위치파악 시스템) 등의 도움을 받아 운행 속도를 포함한 비행 기록과 함께 선명한 HD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
보다폰 관계자는 “유럽항공안전기구(EASA)에서 이 시스템을 채택할 경우 손쉽게 이 위치파악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화된 제품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보다폰에서는 시스템 보급을 위해 휴대폰처럼 심(SIM) 카드를 제작 중이다.
“SIM 카드를 사용할 경우 보다폰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아도 그 즉시 드론 항공통제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드론이 예정된 항로를 이탈하는 긴급사태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동안 항공통제 당국은 드론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크게 우려해왔다. 지난 2017년에는 한 드론이 런던 캐드윅 국제공항 부근에서 운행 중인 항공기에 접근해 130여 명의 승객을 공포로 몰아넣은 적이 있었다.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아슬아슬하게 충돌을 비껴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6일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에서 발생한 헬기 추락 사고도 무인항공기 드론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지목받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국(FAA)에 따르면 조종훈련을 받던 학생과 강사가 탑승해 있던 로빈슨 헬리콥터 R22가 오후 2시경 추락했으며, 탑승자들은 흰색 드론을 발견하고 충돌을 피하려다 사고가 발생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통제기관들 RPS로 항공사고방지 기대
관계자들은 드론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수많은 범죄가 자행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마약 밀거래가 대표적인 경우다. 멕시코 경찰당국에 따르면 중남미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마약 밀거래가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한 교도소에서는 마약, 담배, 휴대폰이 드론에 실려 수감자에게 전달돼 세계적인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지난해 11월 영국 팬튼빌 교도소에서는 드론으로 마약을 투입한 흔적이 발견돼 큰 소동을 벌였다.
이는 드론을 이용한 배송이 불법적인 밀거래, 범죄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관계자들은 드론이 어디를 날아가고 있는지 면밀하게 파악되지 않는 가운데 보이지 않는 곳에서 수많은 범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드론이 너무 작아 통제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되는 드론 통제 기술은 지상의 통제 센터와 개별적으로 통신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또 다른 사람의 통제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보다폰에서 또 다른 기관에서 정밀힌 무선통제가 가능한 RPS를 개발함에 따라 드론 정책을 관장해온 각국 항공통제 기관으로부터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결과적으로 드론 산업 전반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드론 기술의 발전은 놀라울 정도다. 특히 산업 부문에서 상상하지 못했던 기술들이 현실화하고 있다. 드론 택배를 시작한 아마존의 경우 영국 캠브리지에서 주문 후 30분 내 택배가 가능한 실험을 하고 있는 중이다.
SESAR(Single European Sky Air Traffic Management Research)에 따르면 오는 2050년이 되면 유럽연합 내에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드론 비행이 2억5000만 시간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일반 항공기 운행 시간의 7배에 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드론 운행의 발목을 잡고 있었던 것이 안전한 항공 통제 시스템이다. 드론 비행이 늘어남에 따라 각국 항공 당국은 드론으로 인해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드론 운행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긴급히 찾고 있었다.
보다폰에서 드론의 무선 정밀통제가 가능한 RPS를 개발함에 따라 드론 산업 관계자들이 한숨을 놓게 됐다. 이 시스템이 상용화될 경우 일반 항공기처럼 통제가 가능해 기존 항공산업과 연계해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유럽항공안전기구(EASA)의 입스 모리에르(Yves Morier) 대표 자문위원은 “드론의 안전하고 책임을 질 수 있는 운행을 보장하기 위한 보다폰의 노력을 치하한다.”며, “상용화를 위한 보다폰의 노력을 적극 지지한다.”고 말했다.
(733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빛 없이도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새로운 광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신형준 교수 연구팀은 기존 이산화 티타늄 광촉매 위에 탄소나노소재를 증착시킨 형태로 광촉매를 설계해 햇빛이 없을 때도 유기 오염물질 제거·살균 효과가 있는 광촉매를 개발했다. 광촉매가 물을 분해해 만드는 수산화 라디칼은 미세플라스틱, 폐염료 등 유기 오염물질 분해와 살균 효과가 있어 폐수 처리나 공기 정화 기수에 사용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5일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일을 6월 15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기상 등에 따른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예비일을 내달 16∼23일로 설정했다. 정확한 발사시각은 발사 당일에 2차례 열릴 발사관리위원회에서 확정되며, 시간대는 지난 1차 발사(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와 비슷하게 오후 3∼5시 사이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