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무아무아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성간 천체인 보리소프(2I/Borisov)가 화제를 모으고 있다. 태양계 밖에서 날아온 두 천체는 혜성으로 분류되며, 다른 행성계가 형성될 무렵의 물질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혜성은 과학적 탐구 가치가 매우 크지만, 발견 직후 빠르게 사라져서 탐사하기 어렵다.
유럽우주국(ESA)은 2028년 발사를 목표로 새로운 형태의 혜성 탐사선을 검토하고 있다. ‘혜성 인터셉터(Comet Interceptor)’라는 명칭의 이 프로젝트는 우주 공간에 탐사선을 미리 대기시켜 놓고, 접근하는 미확인 혜성이 발견되면 신속하게 탐사한다는 계획이다.
인류가 탐사선을 보내 관측할 수 있었던 혜성들은 모두 단주기 혜성이다. 이미 궤도가 알려져서 미리 탐사 계획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공전 주기가 200년 미만인 단주기 혜성은 태양에 가까워질 때마다 구성 물질의 일부가 증발하므로 생성 초기의 상태를 온전히 유지하지 못한다.
오르트 구름대가 기원인 장주기 혜성은 수만 년 주기로 공전하거나, 태양계가 형성된 이후 처음으로 내부 태양계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아서 비교적 초기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장주기 혜성, 성간 천체는 태양 근점을 통과하기 몇 개월에서 1년 이내에 겨우 발견이 되고, 한 번 지나가면 다시 관측할 기회가 없다. 설령 발견하더라도 탐사선을 준비할 시간이 부족하다.
라그랑주 L2에 혜성 탐사선을 대기시켜
ESA는 1986년 핼리 혜성을 가장 가까이에서 관측한 지오토(Giotto) 탐사선, 2014년 추류모프-게라시멘코(Churyumov–Gerasimenko) 혜성을 탐사한 로제타(Rosetta)-필레(Philae) 탐사선에 이르기까지 혜성 탐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해왔다. 특히 필레 탐사선은 최초로 혜성 표면에 착륙하여 샘플을 채취하기도 했다.
최근 ESA는 ‘동적인 새로운 혜성(Dynamically New Comet, DNC)’ 탐사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탐사선 계획을 수립하고 발사하여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적어도 수년에서 십 년 이상 걸리지만, DNC 탐사를 위해서는 훨씬 빠른 임무 돌입이 가능한 탐사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라그랑주 L2 지점에 혜성 인터셉터를 미리 배치해 놓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2028년에는 ESA가 개발 중인 아리엘(Ariel) 우주망원경이 태양-지구 라그랑주 L2 지점에 배치될 예정이다. 이때 사용할 아리안 6-2 로켓의 운반 능력에 여유가 있어서 혜성 인터셉터를 함께 보내려고 한다.
L2 지점은 지구에서 150만km 떨어진 곳으로 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안정된 공간이다. 이곳에 탐사선을 배치하면 연료 소모가 거의 없어도 궤도를 유지할 수 있다. 덕분에 정해진 목표 없이 우주에서 탐사할 혜성을 기다리는 독특한 접근법이 가능해진다.
만약 탐사할 혜성이 발견되어 출발할 때도 적은 연료만으로 가능하다. 지구에서 목표 혜성의 궤도를 확인하면 즉시 탐사에 나설 수 있어서 임무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혜성에 도착한 탐사선은 두 대의 소형 탐사선(B1, B2)을 방출하게 된다. 모선(A)은 혜성으로부터 약 1000km 떨어진 곳에서 원거리 관측을 하고, 분리된 자선들은 혜성 먼지 입자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근접 탐사에 나선다. 이런 역할 분담을 통해 혜성을 다각도로 더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소형 탐사선 중 하나인 B1은 일본 항공우주연구기구(JAXA)가 하야부사 2 탐사선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나머지 모선과 B2 탐사선은 ESA가 제작한다.
미지의 목표물을 탐사
이 프로젝트는 ESA의 ‘신속 탐사 임무’ 요청에 따라 지난 3월 국제연구팀이 제안했으며, 6월에 승인되어 세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혜성 인터셉터의 가장 큰 특징은 목표물을 알지 못하고 설계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유연한 임무 대처 능력을 갖춰야 하며, 광범위한 표적의 기하학적인 궤도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건설 중인 차세대 망원경들도 혜성 인터셉터 계획을 뒷받침한다. 혜성 탐지 능력이 향상되면 접근하기 몇 년 전에 발견할 수 있어서 탐사선을 제때 보낼 수 있다.
특히, 미국 과학재단(NSF) 주도로 칠레 중부의 세로파촌(Cerro Pachon)에 건설 중인 구경 8.4m의 ‘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Large Synoptic Survey Telescope, LSST)’이 기대된다. LSST는 지구 근처 소행성과 카이퍼벨트 물체의 탐지에 특화된 망원경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근접 천체의 수를 10~100배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509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