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1-21 ⓒ ScienceTimes 태그(Tag) #POSTECH #UNIST #고부가가치화합물 #그레이수소 #그린수소 #몰리브덴 #블루수소 #수소 #수소공정 #연구정보중앙센터 관련기사 수소 값싸게 생산…기계연, 고온 수전해 기술 3천시간 운전 성공 20㎾(킬로와트)급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시스템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최초로 청정수소를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김영상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20㎾(킬로와트)급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전주기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기술은 부산대 연구팀, 차세대 그린수소 생산 전극 개발 AEM 수전해 스택 및 부품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박유세 교수 연구팀이 가격이 저렴한 비귀금속 소재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박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물을 수소와 산소로 전기분해 하는 설비인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해 스택'의 원가를 "폐플라스틱 유래 물질 이용한 수소 저장·회수 기술 개발" 연구진 모습 왼쪽부터 UNIST 안광진 교수, KIST 손현태 박사, POSTECH 한지훈 교수, UNIST 이현건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플라스틱 중 스티로폼으로 대표되는 폴리스타이렌(PS) 유래 물질에 수소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6일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촉매 합성 실험하는 연구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수소연구단 구기영 박사 연구팀이 수소 생산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암모니아 분해 촉매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암모니아(NH₃)는 수소(H₂)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운송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암모니아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공정 개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김지훈·오경렬 박사 연구팀이 외부에서 수소를 공급할 필요 없이 자일로스로부터 자일리톨·자일론산 등 화학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수수 심지, 자작나무 껍질 등 UNIST "그린수소 생산 인공나뭇잎 모듈 개발…상용화 가능성↑" 고효율 무배선 인공나뭇잎 기반 태양광 수소 생산 시스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태양에너지를 수소로 직접 전환하는 인공 광합성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인 인공나뭇잎 모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3일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석상일·장지욱 교수팀이 고효율, 고내구성, 대면적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친환경 기술 개발 햇빛만으로 폐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과 현택환 연구단장, 경희대 김민호 교수 공동 연구팀이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광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존 수소 생산에 널리 쓰이는 '메테인 수증기 개질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 생산한다 기계연,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수소 생산 성공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 이지혜 박사 연구팀은 비스무트 바나데이트(BiVO₄) 광전극의 생산성을 높여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린수소는 태양력·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해 수전해(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생산하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수전해 촉매 운영 안정성 지수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정동영 교수 연구팀이 수전해 장치의 촉매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전해 장치는 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태양력·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방 지스트, 수소 음이온화 통한 전도 기술 첫 구현 광주과학기술원 화학과 김상륜(왼쪽) 교수 연구팀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수소를 음이온 상태로 만들어 고체 속에서 마치 액체처럼 빠르게 이동시키는 기술이 한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1일 화학과 김상륜 교수 연구팀이 한국원자력연구원, 일본 도쿄과학대학과 공동 연구로 분자성 착이온을 활용해 고체 내 수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수면 중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뇌 회로 제시 한국 연구진, 노벨상 이론 뒤집어…"우주는 가속팽창하지 않아" 병이 쌓이는 속도를 늦추는 식사법 강아지도 물건의 ‘용도’로 분류한다고? 개는 훌륭하다 Welcome back, 녹색 바다거북! 낙동강생물자원관, 과수 탄저병 막는 담수 미생물 발견 과기정통부·IITP, 미국 UIUC와 AI 반도체 인재양성 협력 너무 빨리 먹으면 비만 위험 증가…먹는 속도 측정 AI 개발 중앙과학관 80주년 맞아…"인재양성 과학관 역할 중요" 원자력의학원, 암 진단·수술 동시 가능 이중영상 플랫폼 개발 속보 뉴스 농진청, 토양 양분 실시간 측정 센서 개발…스마트농업 가속화 한수원 "저선량방사선, 퇴행성 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전기연, 중전압 하이브리드 직류차단기 개발…전력망 안정 기여 "'마른 비만'도 동맥 손상 위험 높다…내장·간 지방이 범인" "신체활동 늘수록 칼로리 소비도 증가…열량 상쇄·보상 없어" UNIST, 이산화탄소보다 310배 강한 온실가스 분해 기술 개발 "비만 있어도 근력 강하면 사망위험 감소…악력으로 측정 가능"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