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개월 동안 콩고공화국에서는 60명의 에볼라 환자가 발생했다. 그 중 28명은 중환자였고, 이 중 27명이 사망했다. 환자가 발생한 곳은 인구 약 100만 명이 살고 있는 콩고의 북쪽 도시 음반다카(Mbandaka)였다.
25일 ‘가디언’ 지에 따르면 WHO(세계보건기구)는 그동안 의료진이 에볼라 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고, 조심스럽지만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콩고 당국을 비롯 보건 정책 관계자들은 불안을 떨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볼라의 특성 때문이다.
1976년 미생물학자 피터 피옷(Peter Piot) 박사가 발견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과일박쥐를 통해 감염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전신 무력감과 허탈, 피부 발진, 저혈압, 그리고 흔히 전신성 출혈로 인해 사망률이 60%에 이른다.
최근 아프리카 콩고에서 발병한 에볼라의 정체를 과학자들이 추적하고 있는 가운데 인간과 바이러스 간의 전쟁이 고조되고 있다. 사진은 에볼라 바이러스를 옮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과일박쥐. ⓒWikipedia
이로 인해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로 인해 2000명이 넘는 사람이 사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환자가 발생할 경우 격리해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유일한 처방이다.
그러나 몇몇 과학자들이 에볼라를 근절시킬 수 있다고 공언하고 있어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GVP(Global Virome Project)란 글로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이 그룹은 에볼라가 또 다시 유행하기 전에 발병의 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GVP 프로젝트 관계자들은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유전자 특징을 밝혀낸 후 개발이 힘들었던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에볼라 같은 질병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물론 백신이 개발될 경우 과거 인류를 괴롭혔던 콜레라처럼 에볼라를 완전 퇴치할 수 있다.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 에코헬스 알리언스(EcoHealth Alliance)의 피터 다삭(Peter Daszak) 전문의는 “에볼라의 비밀을 밝혀내기 위해 현재 중국, 태국 등에서 박쥐와 설치류, 영장류, 물새 등을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그동안 예비 연구를 통해 1000여 종의 바이러스를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동물 안에 기생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수가 160만 종에 이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치다.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에볼라의 정체를 밝혀내는 일이 수십 년이 걸리는 장기 프로젝트가 될 수 있다는 것.
GVP 연구진은 이런 주장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서둘러 바이러스 분석을 진행할 경우 에볼라의 정체를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관계자들은 에볼라의 정체를 밝혀내면서 인간과 바이러스 간의 전쟁에서 우위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지금도 많은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많은 종류의 바이러스가 전파되면서 에볼라와 같은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행병 예측 방식 놓고 학자들 간의 이견
지난 1995년 에볼라 바이러스를 소재로 한 영화 ‘아웃브레이크(Outbreak)’가 상연된 바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숙주가 된 원숭이가 미국으로 수입되면서, 미국 전역이 바이러스 전염으로 인해 일대 혼란에 빠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영화가 개봉되면서 매우 충격적인 메시지를 던져주었다. 이런 상황이 유사하게 재현되는 분위기다.
GVP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상황을 방치할 경우 인류 전체가 재난에 직면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인류가 힘을 합쳐 이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
문제는 비용이다. GVP에 따르면 바이러스 샘플을 서둘러 분석하기 위해 첨단 장비가 설치돼야 한다. 이를 위해 적어도 12억 달러(한화 약 1조3000억 원)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현재 이 프로젝트를 위해 미국, 중국, 태국 등 일부 국가들이 자금을 지원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과 같은 규모로 초기 단계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GVP 입장에 모든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시드니 대학의 에드워드 홈즈(Edward Holmes) 교수 연구팀은 최근 ‘네이처’ 지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새로운 기법을 통해 신생 전염병을 예측할 수 있는 과학자들의 주장이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다음에 어떤 전염병이 돌지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필요한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바이러스가 어떤 형태로 변신하는지에 대해서도 특정한 모델을 예측하기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다양한 실험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전염병을 예측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바이러스를 분석하려는 시도보다) 질병에 걸린 환자들을 통해 전염병을 예측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이라고 제안했다.
에볼라와 같은 전염병이 돌았을 때 서둘러 어떤 유형의 바이러스가 병을 일으키는지 그 분자 메커니즘을 분석한 후 미래를 대처해나갈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유행병 분석기업인 메타바이오타(Metabiota)의 에디 루빈(Eddy Rubin) 수석연구원은 GVP를 지지하고 있다.
루빈 박사는 최근 ‘옵서버’ 지를 통해 “신종 바이러스로 인해 일단 유행병이 발병하면 대처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허리케인, 지진과 같은 상황이 전개되면서 바이러스의 공격을 막을 수 없는 위험을 촉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류를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을 막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바이러스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해 바이러스로 인한 유행병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데이터를 축적할 경우 인공지능 등을 통해 분석이 가능해 백신 개발, 유행병 예측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761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