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되면 고대(古代) 페르시아인들의 지혜를 본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체적인 모양이나 이름에 담긴 의미가 비슷하다. 바로 노르웨이 해안에 세워질 초대형 해상풍력발전기에 관한 내용이다.
노르웨이의 풍력발전 전문업체인 ‘윈드캐칭시스템즈(Wind Catching Systems)’가 개발 중인 초대형 해상풍력발전기는 기존 풍력발전기와는 사뭇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흥미를 끌고 있다. 기존 풍력발전기가 거대한 탑 위에 초대형 프로펠러가 장착된 모습이라면, 새로운 풍력발전기는 마치 트러스(truss) 구조로 이루어진 철벽과 같은 모습을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을 이용하여 냉방 및 에너지를 만드는 고대와 현대의 과학에 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flickr
그런데 놀랍게도 이러한 철벽과 비슷한 형태의 풍력발전기가 고대 페르시아인들이 건설했던 자연냉방식 건물과 같은 이름을 사용하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페르시아어로 ‘배드저’라고 불리는 이 자연냉방식 건물의 명칭은 ‘윈드캐처(wind catcher)’다. 둘 다 바람을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유익을 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물리학적 법칙을 활용한 자연냉방 건물
윈드캐처의 유래는 고대 이집트로 추정되고 있다. 이 자연냉방식 건물은 이란의 야즈드라는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지역이 덥고 건조한 고원지대여서 별도의 냉방 시설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윈드캐처가 시원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 덕분으로 진단하고 있다. 바로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과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공기의 부력이다.
윈드캐처의 과학적 원리를 분석했던 과학자들은 고대 페르시아인들이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의 위로 올라가는 물리학적 법칙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자연냉방식 건물의 윗부분에 들어온 바람은 뒤에 밀려오는 바람 때문에 굴뚝 아래로 내려가면서 건물 내부를 순환한다. 그렇게 집안을 순환하다가 온도가 올라가면 부력에 따라 위로 밀려 올라가서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건물 내부는 외부보다 더 시원한 바람이 불게 되므로 온도가 자연스럽게 내려가는 것이다.
고대 페르시아의 자연냉방식 건물인 윈드캐처 ⓒ thisbigcity.net
일부 윈드캐처의 경우 식수나 생활용수 마련을 위해 지하에 물웅덩이가 만들어져 있었는데, 이 웅덩이를 건물 위에서 내려온 바람이 지나가도록 설계한 것도 건물 내부 온도를 더 낮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하나둘씩 고대 선조의 자연냉방 비결이 밝혀지면서, 오늘날에 이르러 이를 따라 하고 있는 사례들도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영국이 지난 1979년부터 1994년에 걸쳐 공공건물에 7,000여 종의 윈드캐처를 만든 사례가 꼽힌다.
또한 미 유타주에 있는 시온 국립공원의 방문객센터에도 윈드캐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원은 기후와 지형 면에서 야즈드 지역과 비슷한 높은 고도의 고원지대에 자리 잡고 있는데, 윈드캐처를 설치하면서 에어컨 같은 기계식 냉방을 거의 작동하지 않고 있다. 센터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바로는 방문객 센터의 외부와 내부가 약 16℃ 정도의 온도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백 개의 프로펠러 활용으로 효율과 유지보수에 장점
조만간 노르웨이 연안에 건설될 풍력발전기인 윈드캐처는 일반적인 형태의 풍력발전기가 아닌 트러스 형태의 대형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트러스란 소재가 휘어지지 않게 접합점을 핀으로 연결한 골조구조를 의미한다.
윈드캐처는 해상 위에 설치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기다. 기존의 풍력 발전기가 해안 인근에 설치하는 것과는 달리 바람이 훨씬 많이 부는 넓은 해상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 면에서 더 뛰어나다.
설치하는 위치도 위치이지만, 윈드캐처가 효율 면에서 더 뛰어난 이유는 프로펠러의 크기에 있다. 멀리서 보면 철벽처럼 보이는 윈드캐처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내부에 100개 이상의 프로펠러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풍력발전기는 100m가 넘는 거대한 프로펠러로 인해 초속 11m의 풍속을 가진 바람만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날개를 거대하게 만드는 이유는 프로펠러의 지름이 2배가 되면 바람을 받는 면적이 4배가 되어 발전 효율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프로펠러의 지름을 2배나 더 확대한다고 해서 비용이 똑같이 2배 증가하는 것은 아니므로 결국 크게 만드는 것이 경제성 면에서 볼 때 좋은 것이다.
윈드캐처의 구조와 에너지 생성 개요 ⓒ tekdeeps.com
그러나 윈드캐처는 이런 풍력발전기가 가진 고정관념을 효율로 극복하고 있다. 10m가 약간 넘는 수백 개의 프로펠러를 이용하면 초속 17~18m 정도의 바람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풍력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처럼 수백 개의 프로펠러가 트러스 내에 설치되어 있다 보니 구조물의 높이가 무려 300m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324m 높이의 에펠탑과 맞먹는 수준이다.
개발사인 윈드캐칭시스템즈의 보고서로는 윈드캐처 1대로 약 8만여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부유식 풍력발전기인 만큼, 육지 면적을 차지하여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의 풍력발전기는 프로펠러가 1대인 관계로 고장이 나면 에너지 생산이 불가능하지만, 윈드캐처는 수백 개의 프로펠러가 돌아가므로 그 중 몇 대가 고장 난다 하더라도 전체 발전량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시 말해 부분 유지보수가 가능하므로 오랜 시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194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 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 암 발생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미군의 역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지난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미군이 장·단기적 기후변화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드연구소는 기후변화가 미국의 병력 훈련, 정비 및 시설 정비, 국내외에서의 효과적 작전 수행 역량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며 폭염, 홍수, 산불, 가뭄, 토지 황폐화, 열대 폭풍우 등을 기후위험으로 꼽았다.
/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위 조직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 세포로 전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웨일 코넬 의대(Weill Cornell Medicine) 치료적 장기 재생 연구소(Institute for Therapeutic Organ Regeneration)의 재생의학 전문의 조 주(Joe Zhou) 교수 연구팀이 위 조직에서 채취한 성체 줄기세포를 재프로그램(reprogram) 해 췌장의 인슐린 생산 베타세포와 매우 흡사한 세포로 분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9일 보도했다. 위 조직에 있는 특정 줄기세포에 췌장의 베타세포 생성 유전자 발현에 관계하는 3개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s)를 주입한 결과 베타세포의 기능을 수행하는 유사 베타세포로 전환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