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온 여름, 여름 하면 빠질 수 없는 물놀이가 있다. 계곡, 바다, 수영장, 워터파크 등 다양한 물놀이가 한창이다. 그러나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의 발생은 빠지지 않는 불청객으로 우리 곁을 맴돌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4년~2018년 기준, 물놀이 사망사고로는 강·하천·계곡이 87건, 바닷가가 30건, 해수욕장이 21건 발생했다고 한다.
물놀이 안전사고는 시기상으로 수온이 상승하는 6월부터 9월까지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고 있다. 사고 발생 원인은 수영 미숙과 안전 부주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 음주 수영, 기구 전복, 급류에 의한 사망 등 여러 유형을 보인다. 따라서 예방 차원의 대책 중요성이 큼에 따라 스포츠 의학적 관점으로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물놀이 기구별 사고빈도에서 튜브의 사고 빈도가 가장 높다. ⓒ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2016, 해양환경 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자연환경 중 높은 파도에 의한 사고, 빠른 조류와 바위 지형에서의 사고가 차례로 높은 수치를 보인다. ⓒ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2016, 해양환경 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무리한 수영 및 음주가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행동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다. ⓒ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2016, 해양환경 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해양환경 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물놀이 기구별 사고 빈도로는 튜브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안전사고 발생 빈도로는 무리한 수영과 음주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자연환경으로는 높은 파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다음으로는 빠른 조류와 바위 지형이 비슷한 확률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무리한 수영을 하지 말 것, 금주할 것, 자연환경에서의 물놀이를 주의할 것이라는 예방책을 내릴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물놀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3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물놀이 중 근육 경련이나 근육통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입수 전 충분한 스트레칭은 필수다. 또한, 차가운 물 온도에 갑작스레 뛰어들면 심장마비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스트레칭으로 준비 운동을 충분히 한 후 손과 발, 다리, 몸통(심장) 순으로 몸에 물을 적신 후 천천히 물속에 들어가도록 한다. 만약 물속에서 근육 경련(쥐)이 일어났을 경우 경련이 일어난 부위를 주무르며 무릎을 펴고 엄지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젖혀 경련이 풀릴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대한안전교육협회의 안전수칙에 따라 50분 물놀이, 10분 휴식의 루틴을 지키도록 한다. 휴식을 취할 때는 충분히 수분을 보충해줘 탈수 증상이 나타나지 않게끔 해야 한다. 특히, 서늘한 곳에서 시원한 음료나 염분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다. 물놀이 후 물에서 나오게 되면 우리의 체온은 급격히 떨어지고 체력이 저하돼 감기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시 몸에 묻은 물기를 닦고, 담요를 덮어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만약, 물놀이 도중 몸이 떨리거나 소름이 돋는 경우, 입술이 파래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물놀이를 중단하고 물 밖으로 나와 휴식시간을 가져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술을 포함한 약물을 복용하면 자신의 몸을 맡겨야 하는 물속에서 자기 통제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수영장, 워터파크 외에도 거친 파도, 강한 조류가 발생하는 자연환경에서의 물놀이 시 기상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는 수면 상태에 대응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아는 만큼 보이는 안전수칙을 지키며, 안전하게 여름철 물놀이를 마음껏 즐기기를 바란다. 가벼운 스트레칭, 휴식시간 준수, 약물 복용하지 않기 세 가지는 반드시 지킬 것을 권고한다.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해 구급대원의 도움을 받는다. 그 후, 환자를 옆으로 눕게 한 후 고개도 옆으로 돌려 토사물이 기도를 막지 않도록 하는 자세를 만든다. 맥박은 있지만, 호흡이 적절하지 않을 땐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맥박과 호흡이 모두 불안정할 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익수 환자는 인공호흡을 2번, 가슴 압박을 30번 하는 심폐소생술을 진행하는 게 원칙이다.
(66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