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매듭은 다른 것보다 더 강하지만, 아직까지 그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색깔이 바뀌는 섬유의 도움으로, 연구원들은 매듭의 기하학을 활용하여 다양한 매듭의 상대적 강도를 결정할 수 있는 간단한 수학 규칙을 개발했다.
MIT의 응용 수학자 비샬 파틸(Vishal Patil)은 “수천 년 동안 매듭이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지만, 매듭이 왜 단단하게 묶이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고 말한다.
가장 단순한 매듭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파틸과 동료들은 색 변화 섬유를 연구했다. 이 섬유로 짠 밧줄을 사용하면 밧줄에 압력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색깔이 바뀌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매듭에 나타나는 압박은 연구자들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계산된 압박과 일치했다.
사이언스(Science)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연구팀은 기하학에 바탕을 둔 수학적 공식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두 밧줄을 연결하는 복잡한 매듭의 상대적 강도를 예측했다.
항해나 암벽 등반 또는 건설 현장 등 로프 확보가 필요한 모든 활동에서 어떤 매듭은 다른 매듭보다 강하다. 노련한 선원은 어떤 매듭은 삼각돛을 고정시키는데 좋은 반면, 다른 매듭은 배를 짐칸에 고정시키는 데 더 좋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정확히 왜 어떤 매듭이 다른 매듭보다 안정되게 묶이는지는 지금까지 잘 이해되지 않았다. MIT 수학자들과 공학자들은 밧줄의 매듭이 팽팽하게 당겨질 때 로밧줄이 꼬이는 방향 등 몇 가지 핵심 특성을 바탕으로 그 매듭이 얼마나 안정적인지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했다.
MIT의 존 던켈(Jörn Dunkel) 교수는 “매듭의 미묘한 차이가 매듭을 강도를 결정한다”면서 “이 모델을 이용하면 거의 비슷하게 보이는 두 개의 매듭을 비교해서 어느 것이 더 좋은지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MIT 마티아스 콜레(Mathias Kolle) 교수 연구팀은 2018년, 압력이 가해지면 색깔이 바뀌는 신축성 있는 섬유를 개발했다. 이 섬유를 잡아당기면, 가장 큰 압력을 받은 부분에서 색깔이 다른 색으로 변한다.
기계공학과 교수인 콜레는 MIT 수학과의 초빙을 받아 이 색깔 변하는 섬유에 대한 강연을 했다. 던켈은 관중석에 앉아 아이디어를 짜내기 시작했다. 압력 감지 섬유를 사용하여 매듭의 안정성을 연구할 수 있다면?
수학자들은 오랫동안 ‘매듭 이론’을 고안하는 등 매듭에 흥미를 느껴왔다. 수학자들은 매듭을 수학적인 용어로 설명하려고 한다.
그러나 수학적 매듭 이론에서는 역학과 관련된 모든 것을 무시한다. 수학자들은 밧줄이 뻣뻣한 섬유인지 부드러운 섬유인지 상관하지 않는다. 수학자의 입장에서 볼 때 같은 매듭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던켈 교수는 “우리는 한 매듭이 왜 다른 매듭보다 더 강한지 말할 수 있도록 매듭의 기계적 특성이 수학적 모델링에 무언가 더할 수 있는지 알고 싶었다.”고 말했다.
던켈과 콜레는 무엇이 매듭의 안정성을 결정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팀을 이루었다. 우선 콜레의 섬유를 이용해, 선원에게 익숙한 삼엽형 매듭과 8자형 매듭 등 다양한 매듭을 분석하고, 다른 한편으로 암벽 등반에서 자주 사용하는 매듭을 분석했다. 그들은 밧줄이 팽팽하게 당겨질 때 밧줄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언제 어디서 색깔이 변했는지에 주목하면서 사진으로 찍었다.
콜레의 제자인 조셉 샌드(Joseph Sandt)는 이전에 섬유 실험을 바탕으로 색 지도를 작성했다. 이 색은 섬유에 가해지는 일정한 압력과 연관된다.
던켈은 이미 스파게티 매듭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든 적이 있다. 연구팀이 실험한 매듭과 시뮬레이션한 매듭을 비교했을 때, 그들은 두 가지 색의 패턴이 사실상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모델이 매듭의 응력 분포를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고 있다는 징후였다.
그 후 연구팀은 모델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더 복잡한 매듭을 분석, 어떤 매듭이 더 많은 압력을 받으며 따라서 다른 매듭보다 더 강한지 주목했다.
교차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더 단단
파틸과 동료들은 세 가지 특성이 매듭의 힘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밧줄이 더 많이 교차할수록 매듭이 강해진다. 그리고 서로 교차할 때 밧줄의 꼬이는 정도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밧줄이 반대 방향으로 꼬이면 매듭의 강도는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매듭을 조일 때 인접한 가닥이 반대 방향으로 묶이면 매듭도 튼튼해진다.
그러나 이 규칙은 각 매듭의 상대적인 힘만을 예측한다. 연구원들은 매듭을 묶는 데 사용되는 밧줄이나 섬유 등의 특징과 같은 세부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336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벌들은 좋은 꿀이 많이 들어 있는 꽃의 위치를 어떻게 기억할까?
중앙에 쏠려 있는 연구개발(R&D) 과제와 인력을 분산하기 위해 지방정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세종시가 첨단 자율주행 기술의 메카로 거듭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배출한 학생 창업 기업들이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까지 전국 항만의 초미세먼지 배출량을 현재보다 약 60% 줄이기로 했다.
올해 국내 경제·사회가 코로나19의 충격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에너지 수요가 2년 만에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각종 소비자 위해 우려 생활화학제품 등에 대한 위해성 평가 이전에 유통 금지를 비롯해 신속한 행정조치를 내릴 수 있도록 법적 근거 및 매뉴얼이 마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