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3-03-07 ⓒ ScienceTimes 태그(Tag) #MIT #금속 #미래기술 #바이오테크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 #주목할 기술 관련기사 "사지마비 남성, 동작 상상만으로 로봇팔 마음먹은 대로 제어" 인공지능(AI)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마비 환자의 로봇팔 제어 과정. (F)사지마비 환자가 인공지능(AI) 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장치를 이용해 동작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로봇팔·손을 조작하는 훈련을 하는 모습. (G)로봇팔을 뻗어 물건을 잡아 옮긴 다음 돌려서 내려놓는 동작. (H)로봇팔을 뻗어 벽에 놓인 물건 UNIST "원통형 배터리, 전극 곡률만 바꿔도 성능 개선" 왼쪽부터 제1저자 전병진 연구원, 정경민 교수, 이영현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원통형 배터리 설계에서 전극 곡률(곡선이나 곡면의 구부러진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 중요한 설계 변수라는 사실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밝혀냈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과 정경민 교수팀이 원통형 배터리 전극의 곡률이 전기화학적 성능에 미치 원자력硏, 우주방사선에 의한 오류 억제 반도체 기술 개발 원자력연·포항공대 공동 연구팀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우주방사선에 의한 나노 반도체의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내방사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주방사선은 태양과 외부 은하 등에서 발생해 지구로 향하는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이다.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양성자나 감 KAIST "AI 이용해 효율 높인 차세대 아연공기전지 개발" 아연공기전지 개발 연구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효율을 높인 차세대 아연공기전지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값싼 아연 음극과 산소 양극으로 구성된 아연공기전지는 물 기반 전해질을 사용해 리튬이온전지와 달리 발화 위험이 없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고 있다.&nbs 사람처럼 '의심'하는 AI 개발…동물 행동 예측률 31%↑ 인간처럼 가설을 세워 검증하는 능력을 적용한 모델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상완·정민환 교수 연구팀은 사람처럼 스스로 의심하고 지속적으로 검증을 시도하는 신개념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챗GPT 등 거대언어모델(LLM)은 대규모 텍스트를 학습해 인간과 유사하게 언어를 생성할 KIST "높은 광신호 효율 갖는 2차원 반도체 이미지센서 개발" KIST 연구팀, 높은 광신호 효율 갖는 2차원 반도체 이미지센서 개발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양자기술연구단 황도경 책임연구원과 박민철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높은 광신호 효율을 갖춘 2차원 반도체 기반 이미지센서를 구현했다고 27일 밝혔다. 물체와 환경의 시각적 정보를 기록하고 처리해 모양 "차세대 유기 배터리 수명 줄이는 '용출 현상' 원인 규명" 전해질 내 용매와 양이온 간 상호작용 에너지와 이에 따른 용출 차이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차세대 유기 배터리 전극이 전해질 속으로 녹아 나오는 '용출 현상'의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4일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원진 교수팀이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최준명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전해질 "인공지능, 추론엔 여전히 약점…인간 사고·추론 대체 못 해" 오픈AI와 딥시크 로고 ⓒAFP 연합뉴스 자료 GPT-4 같은 거대언어모델(LLM) 인공지능(AI)은 일부 유추 작업은 잘 하지만 문제가 변형되면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등 추론 능력에 큰 약점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마사 루이스 교수와 미국 산타페이연구소 멜라니 미첼 박사팀은 24일 과학 저널 기계학습 차세대 AI 반도체 통신 속도 11배 높였다 KAIST 연구팀이 제안한 PIM 연산장치 간 통신 개념도 ⓒKAIST 제공 국내외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지능형반도체(Processing in Memory·PIM)의 통신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동준 교수팀은 미국 노스이스턴대학·보스턴대학, 스페인 무 "빠른 충전속도에 용량도 확대…배터리용 유기음극 개발" 반용매 결정화 기술로 합성된 고결정성 유기 음극 소재와 개발된 음극의 장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고속 충전 배터리 소재의 한계였던 용량과 가격 경쟁력을 키운 유기 음극 소재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강석주 교수팀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안석훈 박사팀과 함께 리튬이온배터리용 고결정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자들이 말하는 완벽한 삶은 달걀 조리법 유독 기억력 좋은 사람 뇌의 비밀 메뚜기 떼의 비밀을 밝히다: 과학자들이 집단 움직임의 코드를 해독하다 췌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새로운 검사법이 나온다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없어도 세균의 항균제 내성 증가시켜" "사지마비 남성, 동작 상상만으로 로봇팔 마음먹은 대로 제어" 아기 북극곰은 ‘엄마 껌딱지’ "고온 액체 방울, 차가운 표면에서 공처럼 튀는 현상 포착" 대전대, '롱 코비드' 환자 새로운 생체 지표 제시 구멍 뚫린 탄소 촉매로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효율 높인다 속보 뉴스 한미 합작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발사 성공…초기운영 돌입(종합) "수면의 질 나쁘면 음모론에 빠질 위험 커진다" UNIST "감염 원인균 99% 정확도로 빠르게 판별" 찰나에 일어나는 핫홀 2배 증폭시키는 기술 개발 부경대·한양대, 당기면 색 바뀌는 첨단 섬유 소재 개발 친환경 그린수소 이용한 암모니아 합성 촉매 개발…"성능 7배" "미세플라스틱, 항생제 없어도 세균의 항균제 내성 증가시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