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지구 온난화 문제는 갈수록 더 뜨거운 주제가 되고 있다. 전 지구적 생산과 소비는 당장 줄어들기 어렵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생산과정을 전환하고 친환경 에너지 생산 비율을 높이는 것이 생각처럼 빠르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그러는 사이 홍수나 가뭄이 잦아지는 등의 전 지구적 현상들이 빈번하게 뉴스를 장식한다.
한줄기 희망은 온실가스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 중이라는 것이다.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미 배출되어 대기 중에 존재하고 있는 온실가스를 잡아서 대기 속에서 뽑아내는 기술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활용하는 기술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는 ‘탄소 포집 및 활용(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 기술은 말 그대로 이산화탄소를 ‘포집’, 즉, 공기 중에서 잡아내는 기술과 ‘활용’, 즉, 잡아낸 탄소를 재활용하는 기술로 크게 구분된다. 포집의 경우 물리적 흡착제나 화학적 흡착제를 이용하는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로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소나 대규모 산업 공정 시설을 위주로 시도되고 있다.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특수 파이프라인이나 운송시설을 이용해 이동된 뒤에 활용되게 된다. 대표적인 활용 기술은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석유나 천연가스 등이 있는 지층에 주입해 화석연료 자원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른바 ‘재활용’ 기술인 셈이다. 또는,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메탄이나 메탄올, 합성가스 등의 연료로 ‘화학적 전환’을 시키거나 여러 화학물질과 함께 ‘합성’시켜 우레아, 폴리우레탄, 아크릴 등을 생산하는 기술도 있다.
경제적 가치도 높아
온실가스 문제 해결이 시급할 뿐 아니라, 위의 기술들이 완성되어 상용화될 경우 세계적으로 보급을 위해서나 포집된 탄소의 활용을 통한 경제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가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전력공사나 포항산업과학기술원 등 여러 기관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최근 ‘사이언스’에는 또 다른 온실가스 ‘메탄’을 포집하는 기술이 시도 중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메탄은 축산업이나 쓰레기 매립 등의 과정에서 배출되거나 화석 연료와 천연가스 등을 운송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누출된다. 습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양도 상당한데,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습지가 많아져 자연 발생량도 많아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메탄, 온실가스 효과가 이산화탄소보다 높아
메탄이 대기 중에 차지하는 비중은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낮지만, 지구 온난화 효과는 훨씬 강력하다. 지난 100년간 메탄이 일으킨 지구 온난화 효과는 이산화탄소보다 대략 30배가량 더 강했고, 최근 20년간을 비교하면 그 차이는 84배에 달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산업화 이후 대기 중 메탄의 양은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지구 온도는 1.1°C가량 높였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열린 유엔 기후변화 총회에서 전문가들은 이른바 ‘마이너스 배출’ 기술이 실현되면 대기 중 메탄양을 산업화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메탄은 불안정해 대략 10년 이내에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메탄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면 대기 중 메탄 비율도 비교적 쉽게 줄어들 수 있다. 연구자들이 시도하는 기술도 바로 이 메탄의 산화를 가속하는 방법이다.
메탄 분해를 가속하는 기술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은 대기 중의 메탄을 분해한다. 실험에 따르면, 햇볕이 바다 위로 비칠 때 생기는 소금 줄기 위로 ‘철분(iron)’을 뿌리면 생성되는 많은 양의 수산화 라디칼이 만들어진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메탄의 분해도 더 빨라지게 된다. 문제는, 이때 수산화 라디칼을 파괴하는 염소도 많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 같은 대양 환경에서 쉽고 안정적으로 철분을 공급해 수산화 라디칼을 대량으로 생산해 메탄을 분해하는 기술을 시도하고 있다. 선박들이 사용하는 화석 연료에 철분이 있다는 것에 착안해, 배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철분과 염소, 메탄의 구성을 측정하는 한편, 배기구에 철분과 소금 에어로졸 혼합물을 뿌리는 메커니즘을 고안해 메탄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도 시도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자외선과 함께 대기 중의 메탄을 산화시키는 티타늄디옥사이드 페인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건물이나 풍력 발전용 풍차를 이 페인트로 칠해 메탄 분해를 시도할 수 있다. 비교적 적용이 쉽지만, 대기 중 메탄의 농도가 옅은 만큼 매머드급의 규모로 활용하는 게 아니라면 그 효과를 보기 쉽지 않다.
다만, 이 기술들이 실현되고 도입되면 대기 중 메탄양이 빨리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은 매우 희망적이다.
(319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