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탐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일까? 과거 달 탐사는 미국과 소련(현 러시아)이 주도한 냉전시대 속에서 체제 우위를 선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미국이 1969년 아폴로 11호를 발사하고,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디뎠으나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에 인류가 직접 달에 간 사례는 없다.
달에 인간이 직접 간다는 것은 현재 기술로도 굉장히 위험성이 높은 데다가, 달 탐사를 위해 천문학적인 비용을 감당할 만한 동기도 줄었다.
하지만 달 표면에 존재하는 자원인 헬륨-3(Helium-3)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희소자원이 부존하고 있어 달 직접 탐사를 위한 인류의 도전은 계속되고 있다.
헬륨-3 채굴,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헬륨-3는 화석 연료 및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 주목돼 왔다. 화석 연료는 향후 짧은 시간 내에 고갈될 우려가 계속 제기되고 있으며, 원자력 에너지는 방사능 위험성과 폐기물 처리가 골칫거리다.
반면에 헬륨-3는 지속적으로 태양풍에 의해 달에 퇴적되고 있어 고갈 우려가 거의 없다. 또한, 헬륨-3를 활용한 핵융합 발전은 우라늄이나 토륨을 기반으로 한 원자력보다 효율이 5배 높으면서도 유해 방사능 폐기물이 나오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헬륨-3는 달에 최소 100만 톤에 달하는 양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헬륨-3 1톤이 약 3000억 원의 가치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달 전체 부존하는 헬륨-3는 그 가치가 100만 조원에 달할 정도로 추산된다. 이러한 헬륨-3의 높은 가치는 달 직접 탐사를 위한 새로운 동기를 이끌고 있으나 투자 리스크가 높아 국가 차원에서 직접적인 사업 주도는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헬륨-3의 매력으로 인해 미국, 유럽, 일본 등 많은 국가에서 민간 기업들을 중심으로 달 탐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많은 사업과 연구를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헬륨-3, 잠재성 믿을만한가?
헬륨-3를 채굴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과제를 극복하고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에 따라 헬륨-3 채굴에 대해 현실성이 결여됐다는 부정적인 의견들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헬륨-3 기반의 에너지를 활용하려면 핵융합 원자로가 필요한데, 이 원자로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이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핵융합 에너지는 기술 검증에만 수십 년 이상 소요되며, 핵융합 원자로의 상용화 또한 2055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헬륨-3를 이용한 핵융합 에너지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해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달 탐사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견해들이 많다.
아울러 달에서 헬륨-3의 현지 채굴과 지구로의 운송 과정이 기술적으로 쉽지 않고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등 기술적·경제적 한계는 이미 여러 차례 지적된 바 있다.
또한, 향후 지구로 들여온 헬륨-3의 공급망과 비즈니스 모델 구축, 국제 우주 법안 마련 등을 감안하면 헬륨-3의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일각에서는 헬륨-3에 앞서 달에 부존하는 다른 광물을 우선적으로 채굴해 관련 법안이나 공급망을 구축해보는 것도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달 표면에는 실리콘, 철, 알루미늄, 티타늄, 칼슘, 마그네슘 등 헬륨-3보다 활용이 쉬운 다양한 자원들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에서 물과 태양열을 얻는 방법부터 고민해야
헬륨-3 채굴에 앞서, 달에서 물과 햇빛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도 근본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달에 자원 채굴 기지를 건설해 사람이 거주할 경우에도 물이 필요하지만,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달 수송선 연료를 얻을 수도 있어 물 확보는 꼭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물을 병(Bottle)에 담아 지구에서 국제 우주 정거장으로 수송하는 데만도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달에서 물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기술을 먼저 확보한다면 경제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달의 극점과 같이 얼음이 많아 물을 얻기 쉬운 지역들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불가피하며, 이 때문에 달 토지 소유권 문제 등 우주 법안 구체화도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달에서 일정한 태양광을 쬘 수 있는 영역이 거의 없는 것도 문제다. 달은 지구와 달리 태양광을 80% 이상 받을 수 있는 영역이 매우 좁기 때문에 달 자원 수송선이 태양열에너지를 활용해 연료를 얻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헬륨-3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달에서 물이나 햇빛 등 기초 에너지원을 얻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힘을 얻고 있다.
(1400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