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유전적으로 높은 여성들은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 위험이 증가하는 반면, 남성들은 오히려 발병 위험이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수치가 높을수록 여성들에게서는 유방암과 자궁내막암 위험이 늘어나고, 남성에게서는 전립선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국가의학연구위원회(MRC) 역학 연구단과 엑시터대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인체 내 성호르몬 수준의 유전적 조절에 관한 최대 규모 연구로, 의학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10일 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남성과 여성의 체내를 순환하는 테스토스테론 수치에서 강력한 유전적 요소를 발견했으나, 관련 유전 요인들이 남녀 간에 매우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유전적으로 남성 호르몬 수치가 높은 여성들은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과 유방암, 자궁내막암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사진은 혈당 검사 장면. ⓒ Pixabay
42만여 명에게서 2500여 개 유전적 변이 확인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참여한 42만 5097명의 전장유전체 연관분석(genome wide association studies, GWAS)을 활용해, 테스토스테론 및 그 결합 단백질인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GB) 수치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관련된 2571개의 유전적 변이를 식별해 냈다.
이들은 EPIC-Norfolk 연구와 Twins UK를 포함한 추가 연구에서 자신들의 유전적 분석을 입증하고, 영국 바이오뱅크에서의 결과와 높은 수준으로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EPIC-Norfolk 연구란 1990년대 말 영국 동부 노퍽 지방에서 약 3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럽의 암과 영양에 관한 전향적 연구조사(EPIC)’를 말한다.
Twins UK는 영국에서 성인 쌍둥이를 등록해 여러 복잡한 질병의 유전적 및 환경적 기초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1만 4000명의 쌍둥이가 등록돼 있다.
연구팀은 이어 멘델의 무작위 추출법(Mendelian randomisation)을 적용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전적 차이를 이용해 테스토스테론 수치와 질병 간의 알려진 연관성이 상관성(correlative)이 아니라 인과성(causal)에 의한 것인지를 조사했다.
남성호르몬 수치가 높은 남성들은 2형 당뇨병 같은 대사질환 위험이 줄어드는 반면, 전립선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에 전립선암이 생겨 요도를 압박하는 그림. ⓒ Wikimedia / Cancer Research UK
당뇨 위험 37%, 다낭성 난소증후군 위험 51% 증가
연구팀은 이 연구를 통해 여성에서는 유전적으로 높은 테스토스테론이 2형 당뇨병 위험을 37%, 다낭성 난소증후군(PCOS) 위험을 51%나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남성은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을수록 2형 당뇨병 위험이 14%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유전적으로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으면 여성에서는 유방암과 자궁내막암 위험이 증가하고, 남성에서는 전립선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의 결정 구조 모델 ⓒ Wikimedia / Grishkovskaya I, Avvakumov GV, Sklenar G, Dales D, Hammond GL, Muller YA
논문 공동 시니어 저자인 영국 케임브리지대 MRC 역학 연구단의 존 페리( John Perry) 박사는 “유전적으로 더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여성에서 다낭성 난소증후군 위험을 높인다는 이번 발견은 단순히 그런 상태에 대한 결과라기보다 이 질병의 기원에서 테스토스테론이 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밝혔다.
그는 “마찬가지로, 남성의 전립성 암 치료에서 테스토스테론 감소 요법이 널리 쓰이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낮은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전립선암 발병을 막을 수 있는지가 불확실했다”고 말하고, “이번 연구 결과 멘델의 무작위 추출 같은 유전자 기법이 호르몬 요법의 위험과 이점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유용한가를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논문 제1저자 중 한 사람인 엑시터대의 캐더린 루스(Katherine Ruth)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질병에 미치는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제시한다”며, “특히 테스토스테론이 당뇨병에서는 반대 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에, 연구에서 남성과 여성을 분리해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루스 박사는 “테스토스테론이 다른 질병, 특히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사한 연구를 할 수 있을 때까지 이번 연구를 원용해 테스토스테론 보충제 사용을 정당화하려는 시도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806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패턴의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봉훈 교수,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기술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수십억 개 나노 패턴을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거미가 사람처럼 한밤중에 이른바 '렘수면' 상태의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서구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9일 AP 통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 콘스탄츠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다니엘라 뢰슬러는 한밤중 줄에 매달린 작은 깡충거미의 행동을 카메라로 살펴본 결과 마치 렘수면 상태에 빠진 것처럼 다리를 씰룩거리고 눈을 깜빡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10일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은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夢天)을 최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각종 테스트 작업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발사해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하면 'T'자형 우주정거장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30년 전인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는 소식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질량 48.6㎏의 아주 작은 위성인데다가 제작도 해외 대학(영국 서리대)과 함께 했지만, 우리별 1호의 개발과 발사는 우주과학기술 불모지였던 한국이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국은 우리별 1호가 우주로 올라가면서 세계에서 22번째로 국적 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고,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을 확보해 오늘날 자력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고분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재업 교수 연구팀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던 계산을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는 'AI 고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했다. 옷감이나 플라스틱 등 우리 일상에는 고분자로 만든 재료가 많고, 특히 나노 기술은 고분자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