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이나 기도, 강력한 자기 암시 등이 실제로 정신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뉴로피드백을 이용해 뇌를 1시간 이내로 훈련시킨 결과 뇌 영역들 사이의 신경 연결과 소통이 강화되었다는 연구가 나왔다.
브라질 도르 연구 및 교육 연구소(D’Or Institute for Research and Education, IDOR) 연구팀이 신경의학 저널 ‘뉴로이미지(Neuroimage)’ 14일 자에 발표한 이번 연구는 뇌졸중과 파킨슨병 치료법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뉴로피드백 실험 1시간 뒤 연결성이 증가한 신경 네트워크. 왼쪽부터 기본모드 네트워크, 뇌량계 그리고 감각운동 네트워크 모습. ⓒ D’Or Institute for Research and Education (IDOR)
뉴로피드백으로 뇌파 조절
뉴로피드백(Neurofeedback)은 뇌파를 통제하는 바이오피드백 기술을 말한다. 우리 뇌에서는 여러 정신작용이나 질병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닌 뇌파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주의력 결핍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뇌파 진동이 느리고, 우울증이 있으면 좌뇌보다 우뇌의 뇌파 진동이 더 빠르다는 것이다. 이런 뇌파를 우리 의지로 조절하기는 쉽지 않으나 바이오피드백 기술을 통한 훈련으로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분야 신경학자들은 뉴로피드백 기술이 만성 통증이나 우울증 같은 장애와 연결된 뇌의 기능부전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해 왔다.
이 기술을 이용해 자기공명 영상장비로 개인들의 뇌 활동에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고, 이를 신속하게 제어함으로써 진료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실험 결과 확실한 차이 나타나
이번 연구팀은 36명의 건강한 사람들을 실험에 참가시켜 손 운동과 관련된 뇌 영역의 활동 증가 여부를 관찰했다. 이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이 실제로 손을 움직이지 않고 완전히 평온한 상태에서 손이 움직이는 것만을 상상해 보도록 했다.
실험 참가자 가운데 19명은 실제 뇌 훈련을 받았고, 17명은 비교를 위해 거짓(placebo) 뉴로피드백 훈련을 시켰다.
연구팀은 30분 동안 지속된 뇌 훈련의 바로 직전과 직후에 뇌 신경망을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했다. 이를 통해 신경피드백이 뇌의 배선(wiring)과 통신 즉 뇌의 구조적 및 기능적 연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였다.
“신경 네트워크 시스템 전반적으로 강화돼”
연구 결과, 우측 대뇌 반구와 좌측 대뇌 반구를 연결하는 대뇌 주요 연결 부위인 뇌량(腦梁, corpus callosum)의 온전성이 향상되고, 신체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 네트워크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전체 시스템이 더욱 강력해진 것으로 보였다.
마찬가지로, 이 훈련은 또한 뇌졸중과 파킨슨병, 우울증으로 손상된 뇌의 기본 모드 네트워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대조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를 이끈 페르난다 토바르 몰(Fernanda Tovar Moll) IDOR 소장은 “이번 연구는 뉴로피드백이 뇌 변화를 이끄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며, “앞으로 새 연구를 통해 신경학적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이 치료법으로 도움을 얻을 수 있는지를 테스트해 보겠다”고 밝혔다.
(855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
2차 발사일이 잠정적으로 6월 15일로 잡혀 있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완벽 성공'에 재도전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등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이번 주에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누리호의 발사일과 시간을 확정한다. 기상 변수 등을 고려해 발사일 전후 약 1주가 예비발사 기간으로 함께 지정될 예정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3일 우리나라 주요 산림 수종 14개의 무게를 쉽게 측정할 '입목중량표'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입목중량표는 나무의 키와 가슴높이의 굵기만 알면 누구나 쉽게 무게를 알 수 있도록 표로 제시한 것으로, 부피 단위인 재적표와 함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산림 경영기준표다.
양자암호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인 'TF QKD'의 실험 검증에 한국 연구진이 세계에서 두번째로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2일 한상욱 양자정보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작년 겨울 'TF(Twin-field) 양자키 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달 초 양자정보학 분야의 온라인 오픈액세스 저널인 'npj Quantum Information'에 게재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석으로 방사성 물질인 세슘을 분리하는 '자성 분리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오염 토양 정화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세슘은 지름 0.002㎜ 이하의 미세한 흙입자(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데, 점토는 표면이 음전하를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