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국가들의 정책과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하고 있는 ‘2019 대한민국 기후기술대전’ 행사의 일환으로 마련된 ‘탄소 자원화 글로벌 포럼’이 25일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날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탄소 자원화를 위해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했다. 그러나 각국의 상황과 정책 목표에 따라, 탄소 자원화를 위한 정책 방향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탄소 자원화란, 탄소를 감축해야 할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만 간주하지 않고 연료나 원료 등과 같은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기술이다. 즉 온실가스 자체를 자원화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포럼에서는 특히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와 보다 광범위한 의미의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 등에 대한 언급이 잦았다. 그리고 이 같은 기술의 지속적 개발과 경제성에 대해 각국이 고민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대부분의 경우 순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탄소의 포집과 저장 등에 대규모 시설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에버스 CO2밸류유럽 부대표는 ‘CCU-가스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U의 핵심요소’ 주제 발표를 통해 “탄소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등의 기술적인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는 없다”며, “유럽연합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핵심 에너지원인 천연가스와 기존 인프라를 연계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볼커 시크 글로벌CO2이니셔티브 총책임자는 ‘미국에서의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노력과 글로벌 이산화탄소 이니셔티브의 역할’에 대해 소개했다.
볼커 시크 총책임자는 “미국은 각종 세제 혜택과 법안을 정비해 탄소 자원화 사업에 보다 많은 기업이 신규 진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탄소 자원화 사업의 환경적인 측면과 수익성 측면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43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뇌에 특정 장소에 대한 장기기억이 형성될 때 지형지물의 많고 적음 같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기억이 형성되는 방식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관찰할 수 있는 액상 전자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마약류·총기 등 사회 안전에 해를 끼치는 물품의 밀반입을 막기 위한 기술개발에 정부 부처가 힘을 모은다.
정부가 신소재를 사용한 무선 부품인 'X-밴드 질화갈륨(GaN) 반도체 집적회로(MMIC)'의 국산화를 추진한다.
개인의 유전자에 따라 장내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북도, 새만금개발청, 군산시는 19일 전북도청에서 5개 기업과 '새만금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협약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방세 감면, 보조금 우대 등의 혜택을 주는 '에너지특화기업' 지정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