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반도체 및 집적 회로(IC) 역사에 획기적인 발명을 이룩했던 `첨단 전자 산업의 대부' 고(故) 강대원 박사가 미국 컴퓨터 분야의 최고 전문가 조직인 `전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회원으로 정식 입회하게 됐다.
1일 미국 `전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협회 홈페이지 등에 따르면 협회측은 올해 컴퓨터 및 전자 부문의 집적 회로(IC) 발명 50주년을 맞아 고 강대원 박사를 비롯, 전자 업계의 혁명적인 발전에 공헌해 온 `명예의 전당' 회원 15명을 선정, 발표했다.
강 박사는 전류 증폭 및 스위치(개폐) 기능으로 모든 전자 제품의 핵심 부품 역할을 하는 집적 회로(IC)를 최초로 상용화시킨 `모스펫'(MOSFET)'을 발명, 특허를 받은 인사로 전자 산업의 역사를 새로 창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 널리 유행하고 있는 USB 메모리, MP3 플레이어에 적용되는 플래시메모리 등도 강 박사가 최초로 발명한 기술 제품에 속한다.
모스펫은 과거 진공관과 트랜지스터로 대표되는 초기 전자 회로 시대를 뛰어넘어 IC 시대로 발전하는 데 가장 기초적이고 획기적인 발명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지금 상용화돼 있는 모든 디지털 전자 회로의 토대가 됐다.
미국 명예의 전당 협회측은 강 박사의 공적에 대해 "최초의 트랜지스터 상용 제품을 발명했고 그의 발명은 오늘날 컴퓨터와 전자 사업 부문의 집적 회로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며 "그는 벨 연구소와 NEC 연구소 등에서 컴퓨터와 통신 부문의 기초 과학 연구에 매진했다"고 적었다.
1931년생인 강 박사는 1955년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길에 나서 1959년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9세 되던 해 `모스펫' 발명에 성공, 명성을 날렸다.
강 박사는 1950년대 당시 최초의 트랜지스터를 발명했던 미국 벨 연구소에서 일했고 1988년 일본 최대의 통신회사인 NEC가 미국 뉴저지에 세운 `NEC 리서치 연구소' 설립을 주도하며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전자 업계의 거두로서 활동하다 1992년 5월 별세했다.
실리콘밸리 한인 전문가 조직인 `K-그룹' 김태진 고문은 "강 박사가 첨단 정보기술과 현대 전자산업에 끼친 영향은 세계 전문가들이 모두 인정할 만큼 가히 절대적이다"며 "전자 산업계의 `노벨상' 후보로 거론돼 온 강 박사가 뒤늦은 감은 있지만 `명예의 전당'에 오를 수 있게 돼 감회가 새롭다"고 말했다.
전자 산업 부문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입회 및 기념 행사는 2일(현지 시간) 오후 6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 지역에선 처음으로 `마운틴뷰'에 위치한 `컴퓨터 역사 박물관'에서 IT 업계 거물급 인사들과 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릴 예정이다.
올해 명예의 전당 회원으로 선정된 인사는 강 박사를 비롯, 강 박사와 더불어 `모스펫' 발명에 공헌한 마틴 아탈라 박사, `무어의 법칙'으로 유명한 인텔의 공동 창업주 고든 무어, 반도체 칩 디자인 분야의 선구자 카버 미드 등 15명이며 이중 강 박사를 포함한 5명은 이미 고인이 됐다.
-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제공) 김성용 특파원
- ksy@yna.co.kr
- 저작권자 2009-05-0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