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9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하헌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박사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하 박사는 질소산화물을 낮은 온도에서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탈질촉매를 개발한 공로로 상을 받았다.
질소산화물은 발전소 소각로나 자동차, 선박 등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때 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공기오염물질이다. 미세먼지를 만드는 숙주 역할을 하고 호흡기 질환, 천식 등을 일으켜 인체에 해를 끼친다.
탈질촉매는 이런 질소산화물을 인체에 해가 없는 질소와 물로 변환시켜주는 재료를 말한다.
지금까지는 배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처리할 때 주로 약 300도 이상의 고온에서만 작동하는 촉매를 썼다. 그러다 보니 가스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에너지 비용이 발생했고, 처리시설을 설치할 장소를 확보해야 했다.
하 박사는 양자역학 원리를 화학에 적용한 양자화학적 계산기법을 활용해 220도 정도의 저온에서도 효율이 90% 이상으로 높으면서 가격경쟁력도 높은 촉매 물질을 개발했다.
재료 표면을 특수처리(황화처리)해 황에 의한 손상을 막음으로써 촉매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저온 영역에서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런 연구 성과는 환경촉매 분야 국제저널인 '응용 촉매작용 B:환경'(Applied Catalysis B : Environmental) 3편 등에 실렸다. 하 박사는 이 기술을 미국, 유럽 등 4개국에 특허 출원해 등록했다.
이 기술은 현재 대영씨엔이에 이전돼 포스코[005490]의 광양소결로에서 2년간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하 박사는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값비싼 외국산 질소산화물 처리 촉매를 대체할 만한, 질 좋고 저렴한 국산 촉매를 개발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연구실 졸업생과 재학생들에게 영광을 돌리고 싶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5-09-0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