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 과학문화
  • 생활 속 과학
생활 속 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02-28

영국인만 슬프게 본다는 이모지 英 연구진, 성별·문화·나이에 따른 이모지 감수성 분석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 메신저나 문자로 부모님과 소통하다 보면 종종 맥락에 맞지 않는 이모지가 쓰여 당황스러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모지를 해석하는 방식이 나이, 성별, 문화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GettyImages

딱딱한 글자보다 표정이 섞인 그림 한 개가 더 와닿을 때가 있다. 스마트폰과 메신저 앱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표정을 표현한 간단한 그림 즉, 이모지(emoji)를 텍스트 메시지에 섞어 쓰는 일이 크게 늘었다. 웃고 우는 등 다양한 표정과 생활 속 사물들을 단순화한 이모지는 문자만으로 대화할 때 전달하기 힘든 감정 표현을 돕는다.

 

한국인은 이모지를 사랑한다

이모지의 역사는 일본에서 시작됐다. 일본의 통신사인 NTT도코모가 1999년 가로 12픽셀, 세로 12픽셀의 이모지를 처음 선보였다. 처음엔 인기가 없었지만,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자판에 숨어있던 이모지들이 텍스트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 한국인은 다른 국가 사람들보다 이모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된다. 어도비는 2022년 보고서를 발표하며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모지 5개를 선별하여 발표하기도 했다. ⓒ어도비

2022년 어도비가 발표한 ‘크리에이티브의 미래: 2022 글로벌 이모지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이모지는 직장 내 효율성 향상부터 연인과의 관계, 온라인 활동까지 일상 전반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서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도비가 한국을 비롯한 7개 국가 이모지 사용자 1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은 언어 장벽을 뛰어넘는 의사소통과 자기표현, 간편한 아이디어 공유에 이모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인은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이모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로 단어를 이모지로 대체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의 76%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세계 평균인 68%보다 높은 수치다. 한국인 응답자의 93%는 이모지를 사용할 때 대화 상대에 대해 공감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반 이상(56%)이 말보다는 이모지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라고 답했다.

 

이모지에 대한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

▲ 영국 노팅엄대 연구진은 성별과 문화에 따라 이모지를 해석하는 방식이 다소 차이가 난다고 분석했다. ⓒPLOS ONE

특정 메신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과 달리 이모지는 각 그림이 특정한 유니코드를 갖고 있어서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도 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거의 모든 응답자(96%)가 최신 이모지의 의미를 알고 있다고 자신했다. 그렇다면 국적 불문, 나이 불문, 성별을 불문하고 모든 사람들의 이모지의 의미를 정확히 해석하고 있을까.

이 질문의 답은 최근의 연구에서 얻을 수 있다. 영국 노팅엄대 연구진은 성별, 문화, 나이에 따른 이모지 해석 차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지난 15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했다.

▲ 연구진은 6개의 감정을 표현하는 4개 플랫폼의 이모지를 참가자들에게 제시한 후, 각 이모지의 의미를 평가하도록 했다. ⓒPLOS ONE

우선 연구진은 18~84세의 중국인 253명, 영국인 270명을 모집했다. 그리고 이들에게 여러 플랫폼에서 두루 쓰이는 6가지의 이모지를 리뷰하도록 했다. 연구진은 각 이모지를 행복, 역겨움, 공포, 슬픔, 놀람, 화남을 나타내는 이모지로 라벨링했다. 6가지 감정에 대한 애플, 윈도우, 안드로이드, 위챗 플랫폼의 이모지 등 총 24가지의 이모지를 참가자들에게 보여주며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평가했다. 각 플랫폼의 이모지는 조금씩 형태가 다르다.

 

▲ 성별에 따른 이모지 해석 차이.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이모지를 의도된 대로 해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LOS ONE

분석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전반적으로 모든 이모지의 의미를 의도대로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해석이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성별, 나이에 비해 문화적 차이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가령, 슬픔을 표현한 이모지를 영국인들은 대부분 슬픔을 표현한다고 인식했지만, 중국인들은 절반 정도만 슬픔을 표현한다고 인식했다. 전반적으로 영국인 참가자들이 중국인 참가자들에 비해 대부분의 이모지를 의도대로 해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문화(국가)에 따른 이모지 해석 차이. 전반적으로 영국인이 중국인에 비해 이미지를 의도된 대로 해석했다. 특히, 슬픔을 표현하는 이모지의 경우 양국 참가자들 간의 해석 간극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PLOS ONE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6가지의 이모지 유형만을 연구에 활용했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모든 이미지로 확대해석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번 연구는 이모지를 사용할 때 맥락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텍스트와 함께 사용되는 전후 맥락을 고려하여 이모지 해석의 차이를 조사하는 연구로 확장돼야 할 것”이라며 “이모지의 모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별, 나이, 문화를 넘나드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예슬 리포터
yskwon0417@gmail.com
저작권자 2024-02-28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발행인 : 조율래 / 편집인 : 김길태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길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