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설명 : 해양 식물플랑크톤 돌말류 중 Thalassiosira pacifica의 개각면의 중심 유기돌기의 모습. 유기돌기의 외부는 일반적인 관으로 보이나 그 반대쪽의 안쪽면은 주변에 2-5개의 지지공으로 둘러싸여 있고 이들은 활모양으로 유기돌기를 지지한다. 주로 Thalassiosiraceae과에 나타나며 이전에는 주연극(marginal spine)이라고 불렀다. 가운데 유기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주변의 망목이 배열한다. 20000x에서 관찰된 돌말류의 나노미세구조가 여기서 빛을 발한다. 이토록 작은 크기에서 규산질을 통해 저런 나노형상을 이뤄내는 돌말류!! 이것이 현재 각광받는 나노기술을 가속화할 수 이는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 한다.(현미경 배율 20000배)
주관/미학적 설명 : 김흥국 불후의 명곡 호랑나비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 호랑나비가 아닌 노랑나비의 비애 노랑나비 한 마리가 꽃밭에 앉았는데 도대체 한사람도 즐겨찾는 이 하나없네 하루이틀 기다려도 도대체 사람없네 이것참 속상해 속상해 못살겠네 노랑나비야 날아봐 하늘높이 날아봐 노랑나비야 날아봐 구름위로 숨어봐
- 바이오현미경 사진전 수상작
- 저작권자 2011-12-2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