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3시 서울교육대학교 에듀웰센터 2층에서 역사를 비롯한 4과목의 교과용도서 집필기준 설명회가 열렸다.
교육과학기술부,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한 이번 설명회에는 학계, 출판사 및 교과서 집필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개발될 예정인 국어, 도덕, 경제, 역사 교과서의 집필기준을 안내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역사교과서, 어떻게 달라지나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관한 내용이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발표자로 나선 박홍갑 국사편찬위원회 편사 부장은 지난 8월부터 개발을 시작한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의 원칙과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번 집필 기준은 이미 고시된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의 목표와 방향을 분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의 수준과 범위를 제시한 것으로 개발 단계에서 교육과정상 영역별 성취기준을 설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역사 교과서의 경우, 교과서 집필의 대강만을 제시하는 ‘대강화 원칙’에 입각해 개발함으로써 집필자의 자율성 확대를 통해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과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급별 계열화 원칙하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중학교 ‘역사’를 정치사와 문화사 중심으로, 고등학교 ‘한국사’를 사회사, 경제사, 사상사 및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서술하며 중‧고등학교의 차별화를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교과서 집필자들은 이런 대강화의 원칙에 입각해 구체적인 사건을 나열하지 않고 교육과정을 교과서에 구현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되,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제주 4‧3 사건, 5‧16 군사 정변, 친일파 청산 등 주요 역사적 사건들을 교과서에 서술해야 한다고 박홍갑 부장은 강조했다. 더불어 이렇게 사회적, 국가적으로 인정된 사건들이 누락되었을 경우, 검정상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는 지난 11일 이태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이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제주 4‧3 사건, 5‧16 군사 정변, 친일파 청산 등 주요 역사적 사건들은 교과서에 충실히 서술되어야 하며, 2012년에 검정 출원하는 도서에서 관련 내용이 누락될 경우 검정 통과가 어려울 것” 이라고 발표한 내용을 재강조한 것이다.
또한 ‘중학교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개정 요구(안)’에 따르면 “5‧18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사실과 등재의 의의 및 5‧18 민주화 운동이 세계사에 미친 영향을 기술한다”는 추가수록 안이 제시되어 있어 논란이 된 5‧18 관련 문제들은 잠잠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 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으로는 ‘독도가 한국의 고유영토임을 입증하는 다양한 역사·지리 자료 등을 제시해 독도 영유권의 정당성을 서술하고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과 일본 역사교과서 역사 왜곡실태를 파악해 그 배경과 문제점, 허구성 등을 탐구’하도록 제시되어있다.
이 밖에 이날 설명회에서는 국어, 도덕, 경제의 교과서 집필기준 개발 연구 담당자가 직접 발표를 진행하며 교과서의 집필 기준에 대한 관계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 박정렬 객원기자
- iwillcrew@nate.com
- 저작권자 2011-11-1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