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청장 이수원)은 9일 국가R&D 사업의 중복 투자 등을 막기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특허기술동향조사 계획'을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상정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이 위원회를 통과하면 내년부터는 특허청에 신청하는 모든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해 발주기관과 비용을 공동 부담해 '특허기술동향' 등을 사전에 조사하게 된다.
그동안은 특허청의 자체 예산으로 일부 국가R&D에 대해서만 사전 특허동향조사 등을 펴왔다.
국가 여러 부처에서 각각 진행되는 국가 R&D 사업에 대한 사전 특허기술통향을 파악하면 국가 R&D의 중복 투자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 특허 발굴에도 큰 도움이 된다.
서울대 경제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보면 국가 R&D사업에 대한 사전 특허분석 지원을 통해 중복 투자 방지 등 올해에만 2천964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사전에 특허동향조사 등을 거쳐 국가 R&D를 수행할 경우 특허동향조사를 거치지 않은 R&D에 비해 과제당 평균 2.37개의 특허를 더 창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허청 관계자는 "내년에만 13개 부처에서 신청한 6천여개의 R&D 사업에 대해 사전 특허분석 작업을 펼 계획"이라며 "국가 기술경쟁력 강화에 특허정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대전=연합뉴스 제공) 윤석이 기자
- seokyee@yna.co.kr
- 저작권자 2010-12-0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