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혁신적인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자금을 지원하는 민관 펀드인 산업혁신기구가 27일 발족했다.
총 투자규모는 9천억엔으로, 일본 최대급의 벤처펀드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구는 환경과 생명공학 등 일본이 강점을 갖고 있는 분야의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설립된 것으로, 혁신 기술의 실용화와 함께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에서 일본 기업의 해외 진출 등을 적극 지원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구에는 정부가 820억엔을 출자하고, 파나소닉과 히타치 등 민간기업과 일본정책투자은행 등 16개사가 85억엔을 출자한다.
기구의 차입금에 대해서는 8천억엔을 상한선으로 정부가 보증을 하게 돼 있어 최대 9천억엔의 출자가 가능하게 된다.
기구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는 ▲기업과 대학이 갖고 있는 첨단기술과 특허의 사업화 ▲성장이 예상되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벤처 기업 ▲기업의 유망한 사업부문의 재편 등 3개 분야다.
'오픈 이노베이션'을 표방한 이 기구는 기업과 대학, 벤처기업 등의 사이에서 중개역이 돼 첨단 기술과 인재를 모아 혁신적인 기술의 실용화를 지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물 산업에서 세계 메이저를 육성하기 위한 '물 비즈니스', 전기자동차의 경쟁력에 직결되는 축전지, 의약과 환경에 기여하는 '생명공학' 등의 분야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게 될 것으로 전해졌다.
기구의 사장에는 전 아오조라은행 회장인 노미 기미카즈(能見公一)씨가 취임하는 등 경영진에는 주요 은행과 투자펀드의 임원 출신들이 포진했다.
이날 도쿄에서 개최된 발족식에서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경제산업상은 "성장 분야인 환경과 에너지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학 등으로 분산돼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해 차세대 산업의 싹을 키워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구는 지난 4월 성립된 개정 산업활력재생특별조치법에 설립 근거를 둔 것으로, 15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일본 정부가 공적자금으로 펀드를 설립한 배경에는 벤처 대상의 자금 지원이 구미 각국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다는 지적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전문 싱크탱크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의 벤처 대상 투자잔고는 1조엔 정도로 지난 수년간 옆걸음에 머물렀다. 그러나 구미의 투자펀드는 수십조엔에 이르며, 1건당 투자액도 1억엔 전후로 구미의 10-20%에 불과한 실정이다.
- (도쿄=연합뉴스 제공) 이홍기 특파원
- lhk@yna.co.kr
- 저작권자 2009-07-29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