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에 비해 조기 사망할 위험이 3배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득과 교육수준 등에 따라 사망률 격차가 3배 안팎으로 벌어지는 등 생활의 질과 수준이 수명에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일 1998년과 2001년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검진조사를 받았던 30세 이상 연령층 1만137명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사망과 질병, 의료이용의 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추적조사 기간인 1인당 평균 5.66년이었다.
이에 따르면 30-64세 연령층에 대한 조사에서 정규직 사망률을 1로 잡았을 때 비정규직은 3.11이나 됐다.
소득별로는 3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의 사망률을 1로 했을 때 200만-299만원 소득자는 1.52, 100만원-199만원은 1.9, 100만원 미만은 2.62로 소득이 낮을수록 사망률이 높았다.
소득을 5등분했을 경우 최고 소득계층인 1분위를 기준으로 최저 소득층인 5분위가 1.95로 2배 가까이 사망률이 높았고 4분위 1.48, 3분위 1.3으로 소득이 올라갈수록 점차 그 격차가 좁아졌으나 2분위는 0.65로 최고 소득층보다 오히려 사망률이 낮았다. 이는 먹고 살만큼 적당한 소득을 가진 사람들이 오히려 더 오래 사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셈이다.
교육수준 별로는 대졸 이상이 1이면 고졸은 1.11, 중졸 1.5, 초등학교졸 1.98, 무학 3.09로 3배 이상 차이가 빚어졌다. 하지만 교육수준별 사망률 격차는 여성들 간에 더 심해 여고졸 이상의 사망률을 1로 했을 때 초등학교 졸 미만은 3.95에 달했다.
직업 유형별로는 비(非) 육체 근로자를 1로 했을 때 육체 근로자는 2.83으로 나타났으며, 자동차 소유자가 미 소유자보다 사망률이 절반 정도 낮았다.
한편 수면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평균 7시간 수면을 취하는 사람을 1로 했을 때 4시간 미만은 2.12, 5시간은 2.03, 6시간은 1.25, 8시간은 1.38, 9시간 이상은 1.78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비정규직은 안정된 고용상태에 있는 정규직에 비해 심리적 문제를 많이 갖고 있으며 해고 우려로 병가를 신청하는 비율도 낮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전반적으로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건강수준이나 정신건강이 좋지 않은 편"이라고 밝혔다.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기자
- hjw@yna.co.kr
- 저작권자 2007-03-0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