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전해원 교수 연구팀이 미국 프린스턴대 '앤드링거 환경·에너지 연구센터'와 탄소중립 공동 연구를 위한 '넷제로(탄소중립) 코리아' 프로젝트를 출범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기적으로 한국의 에너지·산업 부문의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한국의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린스턴대가 2021년 발표한 '넷제로 아메리카' 프로젝트의 모델링 방법론을 접목해 한국 실정에 맞게 적용할 방침이다.
높은 공간적·시간적·부문별·기술적 해상도로 에너지와 산업시스템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하고, 지역별 토지 이용 변화, 자본 투자 규모, 일자리 창출, 대기오염에 따른 건강 영향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KAIST는 국제무역 영향까지 통합한 에너지·산업시스템 모델을 개발한다. 기존 국가 단위 에너지 모델링 한계를 보완해 무역이 경제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할 예정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KAIST 연구팀은 호주, 브라질, 중국, 인도, 폴란드 등 세계 주요 연구기관과 국가 단위 탈탄소화 모형 연구를 수행해 온 프린스턴대 연구진과 협력해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구글, KAIST, 프린스턴대의 재원으로 추진된다.
프린스턴대 측 연구책임자인 웨이 펑 교수는 "KAIST의 통합평가 모형과의 장점을 접목한 연구를 통해 한국처럼 무역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많은 국가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링을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토니아 가웰 구글 파트너십 담당 디렉터는 "KAIST와 프린스턴대가 한국에서 진행하는 의미 있는 연구를 지원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는 2030년까지 당사 공급망 전반에서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려는 구글의 목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해원 KAIST 교수는 "넷제로 연구를 선도해 온 프린스턴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한국의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현장에서 발표됐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9-0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