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 과학정책
  • 과학기술
과학기술
박솔 객원기자
2016-03-31

미국 과학자들이 오바마와 소통하는 법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존 홀드렌 강연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제 9차 한미 과학기술협력 공동위원회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 중인 미국 대통령 과학기술보좌관(APST) 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존 홀드렌(John P. Holdren) 박사가 30일 대전 카이스트를 찾았다. 그는 이곳에서 ‘과학, 기술, 그리고 글로벌 도전과제들을 위한 혁신'이라는 주제로 미국의 과학 기술 혁신 전략(Science, Technology and Initiative strategy)에 대해 강연했다. 강연장은 학생들로 가득 차 문을 닫을 수 없을 지경이었다.

홀드랜 박사의 강연을 듣기 위해 입구까지 강연장을 가득 메운 학생들 ⓒ 박솔 / ScienceTimes
홀드렌 박사의 강연을 듣기 위해 입구까지 강연장을 가득 메운 학생들 ⓒ 박솔 / ScienceTimes

오바마 정부는 실제 과학기술계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그들로 하여금 직접 과학기술 정책의 수립과 수행, 평가 과정에 참여하게 하고 있다. 그 중심이 되는 구조가 대통령 직속기구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과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 President’s Council of Advisor on Science and Technology)다.

"국가적 과학기술 돌파구를 찾아 다가올 미래를 대비한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은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미국에서 수행되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업을 지원하고 자문해주며,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책국에 소속된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는 과학기술을 다루는 모든 이가 대통령과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기구다.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는 20여 명의 과학기술분야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홀드렌 박사와 함께 에릭 랜더 박사가 공동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전(前) 구글 회장 에릭 슈미트,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마리오 몰리나 박사도 그 일원이다. 이처럼 정부의 정책을 관리하는 곳이지만 그 구성원들은 정책 전문가가 아닌 과학자, 공학자들이다. 홀드렌 박사 역시 스스로 자신은 로켓공학자였고, 플라즈마 물리학자였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그뿐 아니라 아니라 공학자로서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 이 자리에 올 수 있었다고까지 말한다.

강연 중인 존 홀랜드 박사 ⓒ 박솔 / ScienceTimes
강연 중인 존 홀드렌 박사 ⓒ 박솔 / ScienceTimes

홀드렌 박사는 현재 미국 정부에서 과학 기술을 관리하고 이용하는 데 있어 유의하는 점은 '단순히 지금 이용 가능한 과학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적 과학기술 돌파구를 찾아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교육, 기초연구, 산업과의 연계를 꼽았다.

교육 전략의 핵심은 STEM(Science, Technology, Education, Mathematics)이다. 평생에 걸친, 그리고 인종과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 과학 기술 융합 교육을 통해 과학 기술에 익숙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적이다. 또 기초연구분야에 대한 충분한 투자를 통해 어느 방향으로도 과학 기술이 뻗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이미 개발된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는 좋은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과학 기술의 요람부터 무덤까지를 관리하는 체계다.

수학 영재들(mathelet)을 만나고 있는 오바마 대통령의 사진을 보여주는 존 홀렌드 박사 ⓒ 박솔 / ScienceTimes
수학 영재들(mathlets)을 만나고 있는 오바마 대통령의 사진을 보여주는 존 홀드렌 박사 ⓒ 박솔 / ScienceTimes

미국이 국제 과학기술 정책에도 큰 영향력을 가지는 만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은 국제적인 화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난 파리 기후변화협약 이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화석연료를 친환경 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은 현재 미국 과학기술 정책의 주요 과제 중 하나다.

사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산업국가로서 그간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방출해왔다. 그랬던 미국이 앞장서서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했으니 주목할 만하다. 존 홀드렌 박사는 "약 20년 뒤면 엄청난 변화가 일어날 것을 우리 모두 알고 있다. 에너지와 자원 문제는 30-40년 정도 꾸준히 투자하고 연구해야 변화가 나타난다"며 에너지 문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연에 참석한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학생 이동재씨는 "미국은 과학 기술 정책을 어떻게 만들어나가고 실행시키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기회였다. 미국에서 높은 직위를 가진 사람들, 정치인들이 관심 갖는 주제가 무엇인지도 알게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미국,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들이 확실히 에너지 위기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연구를 많이 하는 것 같다”며 “우리나라에서도 이 같은 분야(에너지 문제, 그와 관련된 연구 분야)에 대한 지원이 더 많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연이 끝난 후 존 홀드렌 박사에게 질문하기 위해 모여든 학생들 ⓒ박솔/ ScienceTimes
강연이 끝난 후 존 홀드렌 박사에게 질문하기 위해 모여든 학생들 ⓒ박솔/ ScienceTimes
박솔 객원기자
solleap91@gmail.com
저작권자 2016-03-31 ⓒ ScienceTimes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