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4-12-11

"1만3천년 전 고대 아메리카 원주민 주 식량원은 매머드" 美·加 연구팀 "유아 동위원소 분석…단백질 40% 매머드에서 섭취"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1만3천년 전 고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매머드와 다른 대형 동물을 주로 잡아먹었음을 보여주는 직접적인 증거가 발견됐다. 연구진은 이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인류의 급속한 팽창과 대형 포유류 멸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1만3천년 전 매머드를 잡아먹는 아메리카 원주민들 상상도. 1만3천년 전 아메리카 석기시대 클로비스인들이 매머드를 잡아먹는 모습 상상도. 모닥불 옆에 18개월 된 클로비스인 아기 '안직-1'(Anzick-1)을 안은 채 고기를 먹는 어머니가 보인다. ⓒEric Carlson in collaboration with Ben Potter(UAF) and Jim Chatters(McMaster University) 제공

1만3천년 전 매머드를 잡아먹는 아메리카 원주민들 상상도. 1만3천년 전 아메리카 석기시대 클로비스인들이 매머드를 잡아먹는 모습 상상도. 모닥불 옆에 18개월 된 클로비스인 아기 '안직-1'(Anzick-1)을 안은 채 고기를 먹는 어머니가 보인다. ⓒEric Carlson in collaboration with Ben Potter(UAF) and Jim Chatters(McMaster University) 제공

캐나다 맥마스터대 제임스 채터스 교수와 미국 페어뱅크스 알래스카대 벤 포터 교수팀은 5일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서 1만3천년 전의 아메리카 석기문화인 클로비스 매장지에서 발견된 유아의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엄마가 먹은 단백질의 40%가 매머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유아의 어머니가 가장 많이 섭취한 단백질은 매머드이고 다음은 엘크, 들소 등이었다며 이는 클로비스인들이 작은 동식물 채집보다는 큰 동물 사냥에 특화된 집단이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안직-1의 안정 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같은 시기, 같은 지역에 있었던 다양한 식량원(food source)의 동위원소 지문과 비교한 결과, 안직-1의 엄마는 단백질의 약 40%를 매머드 고기에서 섭취한 것으로 밝혀졌다. 엘크나 들소 같은 큰 동물이 다음으로 많았고, 그동안 중요한 식량원으로 여겨져 온 작은 포유류는 식단에서 차지한 비율은 아주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클로비스인의 식단을 아메리카 사자, 곰, 늑대 같은 당시 육식동물과 비교한 결과 매머드 전문 사냥꾼으로 알려진 사이미타 고양이(scimitar cat)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터스 교수는 매머드는 장거리 이동을 했기 때문에 이동성이 뛰어난 인간에게 지방과 단백질의 좋은 공급원이었다며 "매머드에 초점을 맞추면 클로비스인들이 어떻게 수백 년 만에 북미 전역과 남미로 퍼져나갔는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포터 교수는 "당시 기후는 매머드 같은 일부 거대 동물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며 "매우 효율적인 사냥꾼이었던 클로비스인들이 취약해진 대형 빙하기 동물의 멸종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Science Advances, Jim Chatters et al., 'Mammoth featured heavily in Western Clovis diet', 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r3814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12-11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