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순산소 연소 기술을 이용한 가열로를 개발해 보급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철강, 석유화학 등 에너지다소비 제조업종에 당장 적용이 가능합니다.”
지난 6년간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기술개발사업단을 이끌어 온 박상도 단장이 미래성장동력 2007 전시회에 나와 직접 연구성과를 소개했다. 대성산업과 공동연구 끝에 에너지다소비업종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잡아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상용화를 실현했다는 것.
박 단장은 “공기 중에서 산소만 뽑아내 연소를 하면 이산화탄소만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잡아내는 기술로 얼마든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공기 중에서 산소만을 뽑아내는 기술은 비용이 높았으나 이를 30% 절감해 사업화가 가능했다는 것.
그는 “철강제조사 가열로 등에서 이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에 큰 효과를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순산소 연소기술이 석탄/석유/가스 화력발전소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수년간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전했다.
CCS기술, 내년 화력발전소에 시험적용
이와 함께 “CCS로 불리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도 내년에 발전소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펼칠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CCS기술은 하얀 분말 형태로 이산화탄소 기체를 흡착시키는 건식흡수제를 활용해 발전소 굴뚝에 접목하면 질소기체는 제외한 이산화탄소를 흡착시킨다. 이산화탄소가 결합된 가루는 재생반응기를 거치면 이산화탄소가 떨어져 나가고 다시 굴뚝으로 돌아와 발전소 이산화탄소와 결합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박 단장은 “CCS기술을 활용하면 90% 이상 농축된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파이프라인을 지하에 연결하는 저장방식의 경우 이산화탄소 격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저장방식의 경우 파이프를 모래층처럼 입자 사이 공간이 많은 지하 1-2km 깊이까지 연결해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내뿜는 것. 이럴 경우 이산화탄소는 지층에 매장된 원유처럼 이동이 고정된다.
CCS기술, 선진국이 10년간 안정성 시험
CCS에 대한 환경성, 안정성 시험은 이미 10년 전부터 선진국에서 시행돼 왔다. 박 단장은 노르웨이, 캐나다 등은 10년간 CCS기술을 테스트해온 대표적인 국가로 꼽았다. 그에 따르면 올해 12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13차 당사국 회의(COP-13)에서 CCS기술을 CDM(청정개발체제) 사업으로 인정하는 논의를 본격 진행한다.
이렇게 되면 선진국이나 우리나라가 CCS기술을 개도국이나 후진국에 전수할 경우 해당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감축량만큼 선진국이나 우리나라가 인정받게 된다.
전문가들은 CCS기술이 앞으로 7-8년 내에 경제성, 기술성, 안정성 검토가 끝나고 2015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 단장은 “CCS기술이 예상보다 훨씬 빨리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전의 우리 사업단 내 3메가와트급 시험용 발전소에서 우리 CCS기술을 시험해왔고 내년에는 500메가와트급 화력발전소에서 본격적인 시험을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에너지다소비 업종, 의무감축 대비해야
그는 “정부가 교토의정서에 따른 의무감축을 안 받으려는 소극적 자세에서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겠다는 적극적 자세로 전환된 느낌을 받는다”며 “국무총리께서 UN고위급 회담을 다녀와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의 중요성을 언급한 점과 노무현 대통령께서 지난 8월 산자부 장관님 발표 후 온실가스 저감 R&D에 박차를 가하라고 지적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단언했다.
특히 “교토의정서에 따른 2차 의무감축이 5-6년 후에 시작되기 때문에 에너지다소비 업종은 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즉 우리 정부가 결국 의무감축 목표를 이행해야 할 경우 결국 석탄, 석유를 많이 쓰는 에너지 다소비 기업에 감축량을 배정할 것이라는 것.
이 같은 상황에 대비해 그는 “현재 CCS기술 및 순산소 연소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해 국내 기업과 국가 생존 및 발전에 많은 큰 기여를 하고 싶다”고 피력했다.
지난 2002년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기술개발사업단은 2012년까지 탄소기준 900만톤 배출량 저감을 목표로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1조5천억원의 경제적 효과와 세계 5위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 억제기술을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서현교 객원기자
- shkshk2@empal.com
- 저작권자 2007-10-31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