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가 최근 논의되고 있는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관련해 산업 경쟁력을 고려한 에너지 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6일 서울 중구에 있는 대한상의 회관에서 한국자원경제학회와 공동으로 '산업 측면에서 바라본 에너지 전환정책의 문제점과 지원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전문가들은 이날 오전 정부에서 개최한 '2035 NDC 최종 공청회'에서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50∼60% 감축' 또는 '53∼60% 감축' 등의 감축안이 나온 것을 두고, 산업계 사정을 고려한 감축안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홍종 한국자원경제학회장 단국대 교수는 환영사에서 "2035 NDC 상향조정은 탄소중립에 따라 추진되고 있지만, 국가 기간산업인 철강,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은 기술적 한계와 투자 여력의 제약 속에 감축 속도를 맞추기 어렵다"면서 "감축목표의 실효성을 확보하면서도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지켜낼 수 있는 정교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정은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 산업의 80%는 철강·석유화학 등 난(難)감축 산업으로 구성돼 있다"며 "단순한 감축 의지나 기술 선언만으로는 현실적인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등은 청정 산업딜과 전환금융 등 산업 생태계를 전 주기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또 2030년에 설비 수명이 다하는 시기가 도래하는데, 선형감축이 어려운 산업 설비 특성상 단계적 감축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은 공정, 연료, 원료 차이로 배출구조가 다양하다는 점과 산업간 연관관계를 고려해 복합적이고 산업 구조적 관점에서 감축 수단을 도출해야 한다는 점도 짚었다.
이상준 서울과기대 교수는 '산업 탈탄소화를 위한 친환경 원료 공급체계의 중요성' 발표에서 "난감축 산업은 결국 연료의 문제로 귀결된다"며 "저탄소 철강, 저탄소 플라스틱 크래킹, 저탄소 시멘트, 저탄소 암모니아 합성 등 핵심 공정이 모두 안정적 청정수소·전력 공급망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수소 고속도로, 배관망 등 산업단지, 지역과 연계한 수소 인프라 구축을 제안하고, 원전으로 생산한 '핑크 수소'가 가장 경제성이 있는 수소라는 내용의 연구 결과도 소개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11-11 ⓒ ScienceTimes
관련기사

뉴스레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