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지연구소는 기후변화로 북극의 해빙 붕괴가 빨라지면서 탄소가 심해로 격리되는 '생물펌프' 작동의 변동성이 커졌다고 23일 밝혔다.
극지연구소 양은진, 캐서린 박사 연구팀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지난 2017년부터 6년 동안 북극 동시베리아와 추크치해에서 확보한 정보를 분석해 기후변화가 생물펌프에 미친 영향을 규명했다.
생물펌프는 해양 생물이 대기나 해수면에 있는 탄소를 포집한 뒤 이를 배변으로 배출해 심해로 보내거나, 성장을 마치고 죽어 심해로 떨어지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을 통해 바닷속 탄소는 대기와 장기간 격리된다.
생물펌프 작동을 위해선 해빙이 녹으면서 바닷물로 유입되는 해빙미세조류의 원활한 공급이 필요하다.
해빙미세조류는 동물플랑크톤과 어류 등 해양 생물의 먹이가 돼 생물펌프 작용과 탄소 격리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해빙이 천천히 녹지 않고 한꺼번에 붕괴하는 일이 잦아지면서 해빙미세조류 공급에도 변동이 생겨 생물펌프 작동에 차질이 생겼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양은진 박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해 해빙 감소는 북극해 먹이망과 탄소 순환 전반에 변화를 유발해 심해로 격리되는 탄소의 양을 줄여 지구온난화 가속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형 해양계류시스템에 부착된 퇴적물 포집기로 해밍미세조류의 침강 현상을 장기 관측하면서 이뤄졌다.
해양수산부 연구개발(R&D)인 '북극해 온난화-해양생태계 변화 감시 및 미래 전망 연구'의 하나로 수행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호소(湖沼)와 해양학'(Limnology and Oceanography)에 실렸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북극해는 지구 기후 안정성을 좌우하는 핵심 현장"이라며 "북극 생태계의 변화를 장기간 정밀하게 관측하는 일은 기후변화 대응과 우리의 미래를 지키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9-2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