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후변화는 나비의 개체수 마저 줄이고 있다 미국, 나비 개체수 10년간 22% 급감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미국에서 나비 개체수가 10년간 무려 22% 급감

다소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공개되었다. 바로 지난 10년간 미국 전역의 나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이다. 나비는 단순히 아름다운 곤충을 넘어 생태계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들의 감소는 생태계 전반의 불균형을 암시하며, 이는 결국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나비의 개체수 보전은 단순히 한 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더 큰 과제가 될 수 있다. 

최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미국 내 나비 개체수는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0년 동안 무려 22%나 감소했다고 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감소세가 기후변화, 서식지 파괴, 살충제 사용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미국만의 현상이 아닌 전 세계적인 추세를 반영하고 있어 생태계 전문가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호랑나비 (Asian swallowtail, 학명: Papilio xuthus) ©Getty Images

우리에게 잘 알려진 호랑나비 (Asian swallowtail, 학명: Papilio xuthus) ©Getty Images

연구팀은 미국 전역에서 실시된 76,000건 이상의 조사를 통해 수집된 1,260만 건의 나비 기록을 분석했다. 이 조사는 554종의 나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미국의 35개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다. 특히 충격적인 사실은 모든 나비 종의 약 3분의 1이 지난 20년 동안 매년 감소 추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개체수가 증가한 종 하나당 약 13종의 개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비 중 가장 상징적인 종 중 하나인 제왕나비(Monarch butterfly)의 개체수가 특히 급격히 줄어들었다.

 

건조한 지역일수록 심화

이러한 감소세는 미국 전역에서 관찰되었지만, 특히 중서부, 남서부, 남동부와 같은 더 덥고 건조한 지역에서 더 심각했다. 이들 지역의 나비 개체수는 10년 동안 21-55%까지 감소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기후가 온화한 북부 지역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이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생태학자 제레미 토마스(Jeremy Thomas)는 엄격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진 모든 유럽 국가에서도 비슷한 감소세가 기록되고 있다고 밝히며. 토지 이용이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유사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나비 감소의 주요 원인: 기후변화, 서식지 손실, 농약

전문가들은 나비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세 가지 요소를 지목하고 있는데 이들은 기후변화, 서식지 손실, 그리고 농업에서의 살충제 사용 등으로 대표된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더욱 변동성 높은 기상 패턴은 나비에게 여러 위협을 가져왔다. 특히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나비의 이동 경로와 서식지가 교란되고 있다고 한다.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나비의 생활 주기가 변화하고, 식물 개화 시기와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먹이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나비인 제왕나비(Monarch butterfly) ©Getty Images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나비인 제왕나비(Monarch butterfly) ©Getty Images

나비 감소의 주요 원인은 집약적인 현대 토지 이용을 들 수 있는데, 현대 농업은 작물이나 파종된 잔디가 자라는 곳에서 거의 모든 종을 제거한다고 한다. 즉, 도시화, 농업 관행, 삼림 벌채 등으로 인해 나비의 서식지와 꽃 개체수가 줄어들어 나비와 다른 곤충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는 셈이다. 

특히, 살충제 사용 증가, 특히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s)는 꿀벌과 나비를 포함한 수분 곤충의 개체수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 참고로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주로 작물, 꽃, 심지어 애완동물용 벼룩약에도 사용되는 살충제에서 발견되는 니코틴과 유사한 화학물질로, 곤충의 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극단적인 기상 현상의 증가는 나비의 유충 단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갑작스러운 폭우나 가뭄은 유충의 생존율을 크게 낮추며, 이는 전체 나비 개체수에 장기적이며 서서히 영향을 준다.

 

나비 개체수 보전을 위한 노력

다행히도 인류의 보전 노력은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특히, 자연보호구역과 기타 보호지역에서는 그들의 생태적 요구사항에 대한 건전한 생태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관리될 경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다행인 점은 많은 척추동물과 달리, 나비의 전체 개체군은 가능한 한 최선의 방법으로 관리될 때 매우 작은 땅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나비인 제왕나비(Monarch butterfly)의 개체수도 급감하고 있다. ©Getty Images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나비인 제왕나비(Monarch butterfly)의 개체수도 급감하고 있다. ©Getty Images

영국 전역의 농부들과 전문가들은 다른 토지 소유자들과 협력하여 가치 있는 나비 서식지를 만들고 복원하고 있으며, 소규모에서 놀라운 결과를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나비 개체수를 늘리는 효과적인 보전 방법 중 하나로 나비가 살고 먹이를 찾을 수 있는 더 많은 서식지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하는데, 영국 남서부에서는 지난 1년 동안 현지 농부의 털이 많은 망갈리차(Mangalitsa) 돼지와 잉글리시 롱혼 (English Longhorn) 소를 빌려 두꺼운 고사리를 밟아 더 많은 공간과 서식지를 만들고 있다. 이는 멸종 위기에 처한 하이 브라운 프리틸러리(High Brown Fritillary) 나비의 먹이 식물인 강아지 제비꽃을 위한 행동이다.

이외에도 꽃이 풍부한 초원 조성, 나비가 선호하는 토착 식물 심기, 살충제 사용 제한 구역 지정 등의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도시 지역에서는 나비 정원 조성과 옥상 정원 같은 도시 녹지 확대가 도시에 사는 나비 종을 위한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다.

개인 차원에서도 나비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정원이나 발코니에 나비가 좋아하는 식물을 심는 것이다. ©Getty Images

개인 차원에서도 나비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정원이나 발코니에 나비가 좋아하는 식물을 심는 것이다. ©Getty Images

개인 차원에서도 나비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특히, 정원이나 발코니에 나비가 좋아하는 식물을 심거나, 농약 사용을 줄이고, 지역 보전 단체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작은 공간을 활용한 나비 정원이 도시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시민 과학'의 중요성

흥미로운 점은 나비 개체수 모니터링과 보전에 있어 시민 과학(citizen science)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는 나비 카운트 프로그램은 과학자들에게 귀중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동시에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 유럽에서는 매년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나비 모니터링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이 수집한 데이터는 과학적 연구의 기초가 되며, 이번 연구에서도 시민 과학자들의 기여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나비 개체수 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지만, 효과적인 보전 전략과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이러한 추세를 늦추고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김민재 리포터
minjae.gaspar.kim@gmail.com
저작권자 2025-03-31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