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 남극 해류도 느려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호주 멜버른 대학 연구진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빙하가 녹으면 남극 대륙 주변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주남극해류(Antarctic Circumpolar Current)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남극 빙하가 녹으면 막대한 양의 담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 바다의 염분 함량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되면 대기의 열을 흡수하는 차가운 물이 해수면과 심해를 순환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되고, 주남극해류의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연구진은 주남극해류는 인도양과 대서양, 태평양으로 거대한 물기둥을 이동시키는 일종의 해양 컨베이어 벨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해류의 '엔진'이 고장 나면 특정 지역의 기후변동성이 더 커지고, 해양의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능력이 감소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는 등 심각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짚었다. 특히 향후 25년간 화석연료 배출량이 증가하면 해류는 20%가량 느려질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해류가 느려지면 조류와 연체동물이 남극대륙에서 더 쉽게 서식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해류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관찰됐던 이전의 연구와 대조적인 만큼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영국 물리학연구소(IOP)가 발행하는 학술지 '환경연구서'(ERL)에 발표됐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5-03-0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