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1-21 ⓒ ScienceTimes 태그(Tag) #POSTECH #UNIST #고부가가치화합물 #그레이수소 #그린수소 #몰리브덴 #블루수소 #수소 #수소공정 #연구정보중앙센터 관련기사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KAIST 연구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초고속 제조 성공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그린수소(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만들어내는 친환경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전해전지를 10분 만에 초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전극과 전해질이 모두 고체로 수소 값싸게 생산…기계연, 고온 수전해 기술 3천시간 운전 성공 20㎾(킬로와트)급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시스템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최초로 청정수소를 값싸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김영상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국내 최초로 20㎾(킬로와트)급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전주기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수전해 기술은 부산대 연구팀, 차세대 그린수소 생산 전극 개발 AEM 수전해 스택 및 부품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박유세 교수 연구팀이 가격이 저렴한 비귀금속 소재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박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물을 수소와 산소로 전기분해 하는 설비인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해 스택'의 원가를 "폐플라스틱 유래 물질 이용한 수소 저장·회수 기술 개발" 연구진 모습 왼쪽부터 UNIST 안광진 교수, KIST 손현태 박사, POSTECH 한지훈 교수, UNIST 이현건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플라스틱 중 스티로폼으로 대표되는 폴리스타이렌(PS) 유래 물질에 수소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6일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연, 암모니아 분해 촉매기술 개발…"수소 생산 경제성↑" 촉매 합성 실험하는 연구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수소연구단 구기영 박사 연구팀이 수소 생산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암모니아 분해 촉매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암모니아(NH₃)는 수소(H₂)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운송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암모니아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공정 개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김지훈·오경렬 박사 연구팀이 외부에서 수소를 공급할 필요 없이 자일로스로부터 자일리톨·자일론산 등 화학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수수 심지, 자작나무 껍질 등 UNIST "그린수소 생산 인공나뭇잎 모듈 개발…상용화 가능성↑" 고효율 무배선 인공나뭇잎 기반 태양광 수소 생산 시스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태양에너지를 수소로 직접 전환하는 인공 광합성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인 인공나뭇잎 모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3일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석상일·장지욱 교수팀이 고효율, 고내구성, 대면적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친환경 기술 개발 햇빛만으로 폐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 연구단 김대형 부연구단장과 현택환 연구단장, 경희대 김민호 교수 공동 연구팀이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고효율 광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존 수소 생산에 널리 쓰이는 '메테인 수증기 개질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 생산한다 기계연, 외부 전원 없이 태양광만으로 수소 생산 성공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 이지혜 박사 연구팀은 비스무트 바나데이트(BiVO₄) 광전극의 생산성을 높여 태양광만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린수소는 태양력·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해 수전해(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생산하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수전해 촉매 운영 안정성 지수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정동영 교수 연구팀이 수전해 장치의 촉매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전해 장치는 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태양력·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방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3만 년 동안 숨겨졌던 ‘그 색깔’의 비밀 자식 양육에 더 힘쓰는 성(性)이 오래 산다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십년전에 알 수 있다면 체외 미세 칩으로 폐암 등 고형암 치료 효과 예측한다 코이카, 파라과이에 K-항공기술 전수해 중남미 항공 허브 구축 한불우주포럼 개최…32개 기업 협력 논의 국제과학관심포지엄서 'AI 시대 과학관 역할' 공동합의문 채택 개미들이 보여준 사회적 거리두기 건축 설계 "노화된 뇌의 기억력 저하 되돌릴 수 있다…쥐 실험 확인" 친환경 수소 생산 위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10분 만에 만든다 속보 뉴스 "북극고래 200년 장수 비결은…뛰어난 DNA 손상 복구 능력" "AI 똑똑해질수록 더 이기적 행동 경향 보여" 블랙홀, 다른 블랙홀 삼키며 점차 커지나…중력파 관측서 확인 정부, '의과학·바이오 특화 AI 모델' 띄운다…루닛·KAIST 선정 순천향대 교수팀, 폐배터리 속 리튬·니켈 분리 신기술 개발 테이블·해먹 변신 뚝딱…KIST '오노봇' 로봇 디자인대회 최고상 국내 연구진, 치매 발병 위험 예측하는 '유전자 점수'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