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기후변화 대응이 갑자기 중요해졌다. 해외 사례를 놓고 보면 미국이 정권 교체로 기후변화 대응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리고 올해부터 파리협정 체계 도입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정책이 더욱 강화됐다. 그뿐만이 아니다. 2050년까지 모든 생산 활동에 사용되는 전력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만 사용하자는 운동인 “신재생에너지100(RE100)”이 크게 화두가 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어떨까? 국내는 2020년부터 그린뉴딜 정책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기업에 요구하는 환경적 책임 또한 강화되고 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개 대두되고 있던 셈이다. 2025년부터 코스피에 상장된 회사 중 자산규모가 2조원이 넘으면 비재무적 부분이 환경 활동에 관한 부분을 의무로 공시해야 한다.
이처럼 기후변화 대응은 국내외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민∙관은 어떤 전략으로 이에 대응할까? 지난 19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이 주최한 “에너지혁신기업 연대포럼”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국, 그린뉴딜 추진으로 국제 경쟁력 31위에서 10위로 껑충 뛰어올라
컨설팅 전문기관 “어네스트앤영(EY)”이 먼저 포럼의 발표를 진행했다. EY는 에너지전환에 있어 “6가지 변화(6D)”를 제시했다. 탈탄소화(Decarbonization), 전력의 다양성(Diversion to Power), 신흥국가(Developing Countires), 전력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디지털(Digitalization), 효율성(Design for Efficiency) 등을 제시했다.
EY는 국가별로 에너지전환 대응 순위를 조사했다. 그중 호주가 가장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호주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유로는 민∙관을 꼽았다. 정부에서 에너지 전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민간기업에서 이에 해당하는 우수한 신재생에너지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반면 미국은 상대적으로 전환속도가 느린 것으로 평가했다. 이유는 산업특성에 있다. 우선 화석연료 비용이 저렴하고, 이에 매기는 세금 또한 높지 않다. 그리고 송배전 비용 또한 저렴해서 전력 탈중앙성의 필요성을 낮춘다.
그럼 한국은 어떨까? EY는 40개 국가를 기준으로 에너지전환 대응 점수를 매겨 순위화했다. 참고로 반영된 척도는 크게 5가지이다. 국가 경제적 안정성, 투자환경, 신재생에너지 사용 우선순위, 신재생에너지 부분 투자 선호도, 개별 프로젝트 강점 등이 포함됐다.
한국은 2019년 평가에서 40개국 중 31위로 하위 점수를 받았다. 그런데 2020년 평가에서 10위로 껑충 상승했다. 이유는 그린뉴딜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그린뉴딜 추진으로 에너지전환 부분에서 국가적 경쟁력을 높인 것이다.
그럼 국제적 경쟁력을 지속 확보하기 위해서 한국은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이에 EY는 6가지 정책적 제언을 했다. 첫째는 해상 풍력 확대를 추진할 것을 제언했다. 둘째는 수소 산업 확장을 제언했다. 셋째는 탄소저장 및 저장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기를 권고했다. 넷쩨는 인공지능(AI) 기반 전력수용예측기술 고도화, 다섯째는 전력그리드 안정성 확보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기적 기술개발 전략 수립 등을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두 번째는 에스케이하이닉스(SK하이닉스)가 혁신포럼 발표를 이어갔다. SK하이닉스는 자사의 RE100 참여 사례를 들어 발표했다.
SK하이닉스는 RE100 참여 배경을 우선 설명했다. 설명에 따르면 RE100 참여 배경은 수출 경쟁력 때문이다. 국제기업이 RE100 참여에 따라 SK하이닉스도 이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애플(Apple), 델(Dell), 블랙록(BlackRock) 등이 환경책임을 요구한 것이다. 물론 내부적으로 환경에 관한 책임을 지자는 움직임도 있었다. 결국 내외부적으로 요구된 변화에 따라 RE100을 추진했다.
SK하이닉스는 작년 12월 RE100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5가지 추진방안을 세웠다. 첫째는 녹색프리미엄 구매이다. 녹색프리미엄은 한국전력(한전)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구매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는데, SK하이닉스는 이를 통해 화석연료 사용 절감에 기여한다. 둘째는 전력거래계약체결이다. 셋째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매이다. 그 외 지분참여, 자가용설비 설치 등을 추진방안으로 내세웠다.
끝으로 SK하이닉스는 정부에 바라는 점도 언급했다.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정부의 인센티브 도입 확대가 시급함을 강조했다. 실제로 SK하이닉스가 언급한 RE100 선도국에서는 세제 혜택 등 여러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세 번째는 가상발전 전문회사를 표방하는 해줌이 나와 발표를 진행했다. 해줌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소비자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참고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소비자를 묶어 “가상발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리고 필요 소비자가 생산 소비자로부터 에너지를 공유받아 쓴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공유경제를 강조하기도 했다.
해줌은 이를 위해서 공급과 수요로 나눠서 동시에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공급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도면, 드론 촬영 영상, 인공지능 위성 등의 데이터를 얻어 태양광 발전량을 예측한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량 확대를 위해서 옥상 설치뿐만 아니라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패널까지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해줌은 수요 측면에서도 여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전력 사용량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전력 수요가 많은 시간의 전력 사용량을 적절하게 관리하면서 전력 효율성을 증대한다. 아울러 건물별 맞춤형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전력 사용량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국제적 협력지원으로 그린뉴딜 확산 기여
후반부에는 정부기관인 KETEP에서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정책 방향을 소개했다. 정부는 태양광 혁신전략으로 두 가지 연구∙개발 목표를 세웠다. 첫째는 유휴공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확대이다. 둘째는 AI를 접목해 발전효율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풍력발전의 경우 2020년 7월 해상풍력 발전방안에 따라 해당 정책이 시행될 계획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량을 12기가와트로 늘릴 계획인데, 이에 따라 어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형터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가 고도화될수록 필요한 해상면적을 줄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어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정부는 그린뉴딜 확산을 위해 국제협력까지 지원하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민간이 그린뉴딜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을 가질 수 있도록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설명회를 지난 23일(화)에 개최했다.
이처럼 정부는 그린뉴딜 확산을 위해 여러 방면으로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민간기업 또한 이러한 흐름에 함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결국 기후변화는 어느 한쪽만이 노력해서 될 일이 아니다. 민∙관이 함께 협력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유성민 건국대 겸임교수
- dracon123@naver.com
- 저작권자 2021-03-2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