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파리기후협정을 탈퇴한 미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환경규제를 완화하면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무시해왔다.
그리고 2년이 지난 지금 백악관을 통해 이전 오바마 행정부에서 제정한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된 규제 법안을 규제 이전 상태로 백지화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28일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북극 빙하 해빙 속도를 늦추기 위한 성명서에 서명하는 것을 거절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 기후변화 관련 정책의 근거가 되는 과학자들의 연구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기후변화 모델, 2040년으로 제한
그동안 트럼프는 줄곧 환경보호 정책의 기반이 되는 과학자들의 연구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지구 온난화에 대한 불신을 표명해왔다.
그 결과 정책 시행 과정에서 지금처럼 온실가스 배출이 늘어날 경우 기후 환경이 최악으로 부상하고, 지구가 종말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는 잇따른 미래 예측 보고서들이 별다른 영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미 지질조사국(USGS)이 대표적인 사례다. 우주인이면서 석유지질학자인 제임스 라일리(James Reilly) 미 지질조사국장은 USGS를 통해 진행되고 있는 과학적 연구들이 일정한 컴퓨터 기후모델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지시했다.
이 기후모델은 21세기말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기후연구 관행을 깨고 2040년을 기준으로 모든 연구를 수행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라일리 국장의 이런 지시가 과학자들로 하여금 단기간 동안의 기후변화 영향에 치중하게 해 전체 흐름과는 다른 엉뚱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전체 기후변화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는데 실패하게 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공정성을 인정받아온 전국기후평가기구(NCA)에도 영향을 미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NCA에서는 미 의회의 의뢰로 지난 2000년부터 매 4년마다 기후평가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지금처럼 온도가 상승할 경우 21세기말 지구 대기 온도가 크게 올라가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1650쪽에 달하는 이 보고서는 기후변화 결과로, 치명적 산불, 고온의 허리케인 및 열(熱) 폭풍 등이 이미 미국을 타격하고 있고, 이러한 재앙이 더욱 극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기말 기후모델 놓고 과학자들과 충돌
이에 따라 미국인들의 건강은 물론 가계 재정, 국가 인프라, 천연자원 등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는 것.
수치로 산정한 피해액 역시 천문학적인 수치로 나타났다. 노동과 연관된 손실이 2090년까지 연간 약 1550억 달러. 같은 기간 경제적 손실은 연간 약 141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해안 지역 부동산 피해는 연간 약 1180억 달러, 인프라 손실도 연간 약 3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기후변화와 관련, 피해액까지 제시된 이런 충격적인 내용의 보고서가 발표된 것은 NCA가 처음이었다. 관계자들은 이 보고서를 그동안 기후변화를 간과해온 미 행정부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받아들였다.
NCA에서는 오는 2021년 말이나 2022년에 발표할 예정으로 다음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경고성 보고서가 또다시 발표된다는 데 대해 잔뜩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 보고서에도 유사한 내용의 경고성 데이터가 다수 포함될 것으로 보고 대비책을 강구하는 중이다.
미국 국립과학원(NAS) 회원이면서 미국 매사추세츠주 우즈 홀 연구센터(Woods Hole Research Center) 소장인 필립 더피(Philip B. Duffy) 박사는 “정부가 국립과학원을 통해 NCA 연구 결과에 논평을 가하는 식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움직임에 미 정부 역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미 환경보호국(EPA) 제임스 휴이트(James Hewitt) 대변인은 ‘뉴욕타임스’에 보내온 이메일을 통해 “이전의 잘못된 기후변화 모델로 인해 연구 결과들이 최악의 예측 시나리오를 만들어왔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그동안 발표된 연구 결과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발표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재검증이 요구되고 있다”며, “확인된 자료를 통해 미래 환경정책이 재조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런 노력이 결실을 얻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프린스턴 대학의 이름을 밝히지 않는 과학자는 “이미 지구 기후변화가 되돌리지 못할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며, “지금은 대처 방안을 강구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 이강봉 객원기자
- aacc409@naver.com
- 저작권자 2019-05-2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