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종합병원 내 신생아 사망사고의 원인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감염에 의한 것으로 지목되자 국민들 사이에서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데, 그 대책으로 One Healthy적 접근 필요성이 제기됐다.
지난 23일 ‘항생제내성 슈퍼박테리아! 어떻게 잡을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제121회 한림원탁토론회에서는 인체병원과 비임상 분야에서 모두 ‘One Healhty’가 강조됐다. ‘One Healthy’란 인간, 동물, 환경에 대한 통합적 접근으로, 다양한 분야의 협업을 통해 보다 나은 건강성과를 가져오기 위한 접근 방법을 의미한다.
인체병원 간 전파 위험성 제기
이날 ‘인체병원에서의 슈퍼박테리아 현황과 관리방안’을 발표한 정석훈 연세대 교수는 “항생제 내성 세균에 의한 감염 확산은 환자의 사망률 증가, 병원입원기간 연장, 의료비 증가 등 다양한 공중보건학적 문제를 유발한다”며 “임상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획득한 슈퍼박테리아가 출현, 확산됨으로써 감염증 치료약제의 선택 폭이 줄어들고 부적절한 치료를 유발하여 더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종합병원과 요양병원, 중소병원의 주요 항생제와 항균제 내성율을 비교해보니까 요양병원이 항생제의 온상이나 다름이 없다”며 병원 간 전파의 위험성을 제기하면서 정 교수는 “환자들이 병세에 따라 종합병원에서 요양병원으로, 요양병원에서 다시 종합병원으로 옮겨 다니기 때문에 내성균들도 그에 따라서 왔다 갔다 하면서 확대, 재생산되는 경향이 있다”고 파악했다.
따라서 내성균들이 사람들 사이에만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동물, 사람들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One Healty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정 교수는 감시시스템 강화도 주장했다.
정 교수는 “WHO는 항생제 내성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국제 표준내성감시 시스템(GLASS)을 고안했는데, 우리나라도 국내의 항생제 내성 현황을 감안해 Kor-GLASS를 만들었다”며 이를 통해 “국내 중요 내성세균의 분리 현황과 종합병원, 요양병원, 중소병원 간의 내성율 부토 차이도 확인할 수 있고, 특성이 규명된 균주의 자원화를 통해 타 연구에도 사용될 수 있는 기틀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비임상 분야에서의 슈퍼박테리아 현황과 관리방안’을 발표한 윤장원 강원대 교수는 “인류가 지금까지 세균에 의한 감염병 치료를 위해 여러 항생제를 개발했는데, 이제는 세균들이 항생제를 무력화 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함으로써 항생제 개발 이전의 시대로 돌아가서 감염병에 의한 질병에 취약한 상태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생포도알균(MRSA)’으로, 반합성 페니실린 제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윤 교수는 “가축에게 항생제를 사용할 때는 수의사에게 진료를 받아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한 후에 세균성 질병에 대해서만 항생제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건강한 동물의 질병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질병 치료시 중요 항생제를 1차 약제로 사용하지 않아야 하고, 중요 항생제는 항생제감수성검사 후 효능이 있을 때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항생제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내성 획득 기회를 줄여야 한다는 얘기다.
동물, 사람, 환경 ‘통합적 관리’ 필요
뿐만 아니라 윤 교수는 “젖소에게서 나타나는 MRSA가 우유와 축주, 축산환경 등에서 동일한 유전형이 분포되고 있는 것으로 봤을 때 가축 관련 종사자들의 접촉을 통해 전달될 가능성도 있는 등 상호 전파가 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며 “개인위생과 농장 환경 관리를 철저히 해서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항생제 내성균 전파 대책을 가축뿐 아니라 사람과 환경 등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One Healty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이밖에도 박희명 건국대 교수도 “최근 새로운 항생물질의 개발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사람과 동물 모두 현재 다양한 항생제 내성균이 출현하고 있다”며 “이러한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방법으로 사람, 동물, 그리고 사람과 동물이 거주하는 환경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One Healthy 개념을 지지했다.
또 이형민 질병관리본부 의료감염관리과장은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국가항생제내성대책을 수립하여 의료현장과 생산현장에서도 실질적인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항생제 내성균 문제가 한 국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 김순강 객원기자
- pureriver@hanmail.net
- 저작권자 2018-01-2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