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강혜련)은 4월 과학의 달을 기념해 지난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2박 3일 동안 전국 4개 권역(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영동권)에서 가족이 함께 다양한 창의적 체험과 융합적 미션 과제를 해결하며 과학을 즐기는 '과학창의가족캠프'를 개최했다. 사이언스타임즈가 권역별 캠프 현장을 직접 찾아가 가족들이 경험한 생생한 과학 체험을 소개한다.
올해부터 전면 시행된 ‘주 5일제 수업’으로 주말에 온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열린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과학창의가족캠프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대안을 어느 정도 제시해주고 있는 듯하다.
가족과 함께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4개 권역별로 진행된 이번 캠프에서 영동권 프로그램에 참여한 김정도씨는 느낀 점을 이렇게 말했다.
“대구에 살기 때문에 평소 경주 불국사나 첨성대, 대릉원 등 신라 유적지에 아이들과 자주 가봤었거든요. 그런데 이번에 가족캠프를 통해 아이들과 함께 갖가지 미션을 수행하고 전문가들에게서 설명을 들으면서 그동안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됐어요. 우리끼리 그냥 유적지나 과학관을 둘러보던 때와 달리 여러 가지 체험을 같이 하니까 아이들이 훨씬 더 쉽게 이해하고 기억에도 오래 남는 것 같았습니다.”
영동권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과학의 과거와 현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첨단과학연대기’로 역사와 과학이 융합된 테마였기 때문에 호응도가 더 높았다.
또한 우리 옛 선조들의 뛰어난 과학기술을 간직하고 있는 불국사와 황룡사지터, 석빙고, 대릉원, 첨성대 등을 이동하면서 미션을 수행하는 놀이형 체험으로 진행되어 역사 속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를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었다.
유채꽃이 만발한 황룡사지터에서 펼쳐진 ‘연날리기’ 프로그램의 경우 문방구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연’이지만, 그것을 높이 날리기 위해서는 바람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며 그 과학적 원리가 무엇인지 고민하는 시간이 됐다.
“옛날 조상들이 가오리연에 실을 꿰는 방향을 보면 연이 높이 떴을 때 가오리 모양이 연을 날리는 사람들에게 잘 보이도록 했으며, 대나무살 뼈대도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는 방향으로 붙여야 하는 것”이라는 캠프 운영교사의 설명에 아이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게다가 온 가족이 함께한 캠프인 만큼 연이라는 매개체나 학창시절 수학여행의 추억이 깃든 경주라는 장소에서 오는 감흥 등 부모세대의 향수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또 석가탑이나 첨성대 모형 만들기 미션은 가족 간의 화합을 다질 뿐 아니라 우리 문화유산 속에 담겨진 과학 원리와 조상의 지혜를 배우는 시간이 됐다. ‘나무로 된 복돼지’ ‘신라시대 해우소(화장실)’ ‘쇠로 된 용’ 등을 찾아 사진을 찍어오는 미션을 통해서 아이들은 불국사 전체를 샅샅이 뒤지고 건물 천정부터 디딤돌까지 꼼꼼히 살펴보기도 했다.
과거와 미래 첨단 과학의 소통
다음날 방문한 울산과학관에서는 조상들이 첨성대를 통해 봤던 그 별을 첨단과학으로 다시 보는 ‘한낮의 별자리’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몇 천 년을 이어온 별을 향한 인간의 관심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런 경험이 우리나라 천문연구의 정통성을 계승한 대표적 천문연구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 견학을 통해 좀 더 구체화되도록 유도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우주와 별의 일생’에 대해 강의를 들었고,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는 혼천의, 24절기를 측정하는 기기 ‘규표’ 등 선조들의 천문지식을 엿볼 수 있는 기구들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이처럼 이번 가족캠프는 ‘별, 선덕 그리고 첨담과학’이라는 테마를 정해 과거와 미래가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기존의 단순한 체험 위주였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새로운 모델이 됐다는 평가다.
또 자녀가 커갈수록 많은 부모들이 지적 호기심이 넘치는 자녀들의 수준 높으면서 황당한 질문에 당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체면상 모른다고 말하기도 민망한 일이니 자녀들과의 대화를 피하는 부모들도 많다.
이처럼 전문가 함께하는 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해 부모와 자녀가 같이 체험하고 배운다면 자연스레 막혔던 대화의 물꼬도 터지게 되기 마련이다.
한동경(대전 만연중2), 한웅호(대전 둔천초6) 형제와 함께 캠프에 참가한 한중수 씨는 바쁜 직장생활 때문에 아들들과 대화를 나누기 어려웠는데, 이번에 가족캠프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직접 사연을 접수해 캠프에 참가하게 됐다고 전했다.
“금요일 휴가까지 내고 이번에는 아들들과 이야기를 많이 나누고 가족 간의 정도 돈독히 하려고 왔습니다. 평소에 아이들이 천문에 관심이 많아서 영동권 프로그램을 신청했고, 별자리도 보고 태양광 자동차도 만들면서 아이들과 대화할 거리를 많이 만들어서 너무 좋습니다.”
- 김순강 객원기자
- pureriver@hanmail.net
- 저작권자 2012-05-0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