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항공우주연구원은 아리랑 2호의 임무를 앞으로 2년 더 연장한다고 27일 밝혔다.
항우연은 아리랑 2호의 탑재체, 명령수신 및 처리, 열, 전력, 자세제어, 추진제, 지상시스템 등 모든 부문의 기능이 정상 운영되고 있음을 고려해 운영기간을 오는 2013년 7월 28일까지 2년 연장했다.
2006년 7월 28일 발사된 아리랑 2호는 당초 설계수명인 3년에 2년을 연장, 28일로 발사 5주년을 맞는다.
아리랑 2호는 1m급 해상도의 탑재체를 포함하는 800kg급 지구저궤도용 정밀 실용위성 개발이라는 목표를 위해 1999년부터 7년간 개발 과정을 거쳐 2006년 7월 28일 러시아의 플레세츠크 발사장에서 발사됐다.
이어 지난 5년동안 지구를 2만6천회 돌며 1만8천회의 위성과 지상 간 교신을 수행했으며, 2006년 8월 첫 촬영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3만7천회의 영상촬영을 수행했고 획득된 영상 수는 총 202만2천880장이다.
2007년 6월 1일부터는 세계상용 위성영상 서비스 시장에 진출, 현재까지 총 1만5천여장의 영상을 판매하는 성과를 올렸다.
아리랑 2호 관제운영담당 관계자는 "앞으로 위성의 노후화에 따르는 대비책을 철저히 마련해 2년간의 2차 연장 임무를 포함한 총 7년간의 관제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jyoung@yna.co.kr
- 저작권자 2011-07-2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