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우주인들의 최대 잔치인 '2009 대전국제우주대회(IAC 2009 Daejeon)'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10월12일부터 16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 등에서 열리는 이번 국제우주대회는 세계 60여국에서 3천여명의 우주전문가와 우주산업기관 등이 대거 참석, 학술회의와 전시회를 열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우주잔치까지 곁들여진다.
◇ 최대 규모의 국제행사
올해로 60회를 맞는 국제적인 권위의 이번 행사는 국제우주연맹(IAF), 국제우주학회(IAA), 국제우주법협회(IISL) 공동주관이며 '지속가능한 평화와 발전을 위한 우주'를 주제로 우주기술과 우주법, 우주의 평화적 개발 촉진 및 이용에 대한 학술회의 등으로 진행한다.
사전 행사인 UN/국제우주연맹(IAF) 워크숍(10월9일~10일)을 시작으로 국제우주학회 아카데미(10월11일)에 이어 12일 공식 개막을 선언하며 16일까지 5일간의 공식 총회 일정에 돌입한다.
메인행사인 학술회의는 국제협력(Agency), 우주산업(Industry), 기후변화(Climate), 우주탐사(Exploration), 우주평화(Peace) 등 다섯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주제발표와 강연, 토론 등이 이어진다.
현재까지 대전국제우주대회에는 54개국에서 1천500명이 참가 등록을 마쳐 목표의 60% 정도에 달해 역대 최대 규모 행사가 될 가능성이 커졌으며, 우주기술 연구논문도 5개 부문 150개 세션에 2천128편이 접수됐다.
◇ 전 세계 우주 전문가·기관 대거 참석
이번 대회에는 미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해 유럽 우주청(ESA),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중국국가항천국(CNSA), 캐나다우주국(CSA), 러시아연방우주청(Russian Federal Space Agency), 인도우주연구기구(ISRO) 등 우주 선진국들의 우주 관련 기관장과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더구나 IAC 대회사상 처음 시도되는 세계의원모임, 국제우주기술(ST) 클러스터 포럼, 세계항공우주특성화 대학 총장단 포럼 등 특별 세션도 마련됐다.
특히 대외 행사에 잘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NASA는 이번 대회에 찰스 볼든(Charles Bolden) 청장을 비롯해 교육담당부청장 등 8명의 임원과 여성 우주인 자넷 카반디(Janet Kavandi) 등 60여명이 참석하기로 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소형 인공위성 공동개발 사업'과 '국제 달 탐사 프로젝트' 등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으로 보이며, NASA는 홍보관을 마련해 우주개척에 나선 50년 역사 및 연구 성과, 달과 화성을 비롯한 우주탐사활동 과정, 미래의 프로젝트 등을 소개하고 달착륙 40주년을 맞아 주제관에 아폴로 우주선과 로켓 등 달 탐사 관련 모형을 전시하고 관련 영상물도 상영할 예정이다.
◇ 외국 굴지 우주 기업도 참여
학술회의에 이어 전시부문에서는 각국 우주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예상된다. 이번 대회의 전시장은 국제 우주항공 전시관과 항공우주 클러스터 전시관, 세계과학도시연합 첨단기술 전시관 등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유럽의 우주항공전문업체인 EADS, 프랑스의 Arianspace, 중국의 CASC, 일본의 HASTIC 등 19개국에서 130개 우주관련 유명 업체도 전시회 참여를 확정해 우주항공 분야 최첨단 기술을 교류할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일반인을 위한 우주잔치 마련
이번 대회에서는 특히 일반인 참여의 폭을 넓히고 국민이 우주를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우주잔치가 열린다는 점이다.
'꿈돌이와 함께하는 우주특별시 여행'을 주제로 교육·전시·체험 이벤트 등 50여개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마련됐다.
대회조직위는 내실있는 축제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와 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우리 미래세대인 초·중·고생의 수학여행과 현장학습 유치 등을 통해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 기대 효과
대전발전연구원은 이번 우주대회를 통해 562억원의 생산파급 효과와 1천700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예상, 지역경제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자력으로 위성발사에 성공하고 나서 국제우주대회를 개최한 일본이나 중국 인도와 달리 자력 위성 발사 사업착수 시기에 우주총회를 열어 우주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는 의미도 내포한다고 대회조직위는 설명했다.
또 행사 기간에 우주선진국과의 교류 협력은 걸음마 수준인 우주관련 산업발전 촉진 효과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 우주산업기술의 세계 시장 진출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국제우주대회조직위 공동위원장인 박성효 대전시장은 "한 달 앞으로 다가온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대전시민은 물론 전 국민이 우주를 향한 관심과 열기가 하나로 모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대회가 우리나라 우주분야 경쟁력을 한 단계 높여 우주선진국 진입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대전=연합뉴스 제공) 조성민 기자
- min365@yna.co.kr
- 저작권자 2009-09-1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