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우주연구개발을 맡고 있는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는 기능을 다한 인공위성과 로켓의 잔해 및 파편 등 우주 쓰레기를 로봇위성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16일 보도했다.
이 기술은 로봇위성이 팔을 뻗어 우주를 떠도는 쓰레기를 붙잡은 뒤 대기권내로 낙하해 연소시키는 것으로, 오는 2011년도에 우주에서 실험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지구 주위에는 10cm 이상의 우주 쓰레기가 1만개 이상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쓰레기는 실용위성과 충돌할 경우 통신 등에 지장을 주게 되며 지난 12일에는 국제우주스테이션에 접근, 체류 중인 우주비행사 13명이 일시 피난하는 소동을 겪기도 했다.
로봇위성은 전용 팔로 우주 쓰레기를 붙잡아 수km에 달하는 전도성 끈으로 묶어 지구 자기권을 선회하다 강력한 전자력으로 브레이크를 걸어 속도를 떨어뜨린 뒤 대기권으로 낙하해 연소시킨다는 것이다.
로봇위성은 1기당 우주 쓰레기를 하나밖에 처리할 수 없지만 수명을 다한 인공위성 등 100개 정도의 대형 쓰레기를 우선 처리할 경우 충돌에 의한 쓰레기의 추가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우주기구에서는 기대하고 있다.
로봇위성의 크기는 사방 50-70cm로 중량은 140kg 정도. 1기당 4억엔 정도의 제조비가 소요된다.
일본 우주기구는 실용화를 위해 이달 하순 독일에서 열리는 국제회의에서 구미 각국에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 (도쿄=연합뉴스 제공) 이홍기 특파원
- lhk@yna.co.kr
- 저작권자 2009-03-1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