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관련 민간단체인 과실연(바른 과학기술사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상임대표 민경찬 연세대 교수)은 동아사이언스, 사이언스TV와 공동으로 ‘올해의 과학기술 10대 뉴스’를 선정해 14일 발표했다. 10대 뉴스는 올해의 뉴스 후보 23개를 놓고 과실연 회원 등 435명이 12월 8-11일 나흘간 온라인 설문을 통한 투료로 선정됐다.
최고의 이슈는 역시 미국소와 광우병을 둘러싼 논란이었다. 올 5월 한미쇠고기협상 이후 광우병과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선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확산되면서 전국적인 촛볼시위로 번졌다. 이 과정에서 ‘미국산 쇠고기는 먹어도 안전한가’ ‘한국인은 광우병에 특히 취약한가’ 등 과학이슈관련 논쟁도 뜨겁게 벌어졌다. 투표에 참여한 사람 가운데 303명이 ‘광우병 파동’을 10대 뉴스로 꼽았다.
KAIST 출신의 이소연 박사는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으로 뽑혀 지난 4월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11일간 우주정거장에 체류하면서 과학실험을 완수한 후 무사히 귀환을 했다. 그 후 자신의 우주체험을 바탕으로 과학기술홍보대사로서 활발한 대중강연을 하고 있다(290표). 12월 가천의대와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가 공동으로 연구한 ‘한국인 게놈 첫 완전 해독’은 올해의 가장 중요한 과학기술 성과로 꼽혔다(266표).
지난 9월 공업용 화학물질인 멜라민이 중국산 과자와 식품에서 대량으로 발견됨으로써 야기된 ‘멜라민파동’은 중국산 수입식품의 안전성 문제를 되돌아보게 했다(254표), 11월에는 일본이 물리학 화학 등 4명의 수상자를 대거 배출해 올해의 노벨과학상을 휩쓸면서 아직 한 명의 노벨상 과학자를 배출하지 못한 우리 과학계는 부러움과 함께 자성의 계기로 삼았다(241표).
우리 기술로 만든 인공태양 KSTAR가 지난 6월 가동에 들어감으로써 핵융합 에너지 개발의 발판을 마련했고(239표), 올해 초 과학기술계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 조직개편으로 과학기술부가 폐지되고 교육과학기술부가 출범했다(236표). 9월 유럽입자물리연구소는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힐 대형 강입자 가속기의 가동에 들어갔고, 5월 중국 쓰촨성에 대지진이 발생해 수십만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한반도 운하의 기술적 타당성을 둘러싼 열띤 찬반논쟁도 벌어졌다.
10대 뉴스에 들지는 못했지만 ‘국립과천과학관 개관’ ‘기상이변, 한국에선 장마 실종’ ‘정부 녹색성장정책 발표’ ‘출연연 구조조정 시동’ ‘사이버모독죄 논란’ ‘IPTV 서비스 개시’ ‘조류독감 전국 확산’ ‘과학기술진흥 577플랜’ ‘베이징올림픽서 꽃핀 스포츠과학’ ‘황우석 연구계로 복귀하나’ 등도 올해 과학기술인들의 관심을 모은 뉴스였다. 올해의 10대뉴스와 그밖의 주요뉴스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안의 숫자는 온라인설문조시에서 받은 투표수다.
<올해의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실연, 동아사이언스 사이언스TV 공동 선정
12월 8-11일, 과실연 회원 등 과학기술인 대상 온라인설문조사
총 투표자수 : 435명
1) 광우병과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논란(303 표)
- 한미쇠고기협상과 전국적인 촛불시위
2) 한국 최초의 우주인 탄생 (290 표)
- 이소연, 11일간 국제우주정거장 체류
3) 한국인 게놈 첫 완전 해독 (266 표)
- 가천의대·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 공동 연구
4) 멜라민 파동과 중국산 수입식품의 안전성 (254 표)
- 공업용 화학물질 ‘멜라민’ 중국산 과자와 식품에 함유
5) 일본인 올해의 노벨상 휩쓸다 (241 표)
- 물리 화학 등 4명의 수상자 대거 배출
6) 우리 기술로 만든 인공태양 ‘KSTAR’ 가동 (239 표)
- 핵융합 에너지 개발 발판 마련
7) 과기부 폐지, 교육과학기술부 출범 (236 표)
- ‘과학기술 홀대론’ ‘국가CTO 부재론’ 대두
8) 유럽입자물리연구소, 대형 강입자 가속기(LHC) 가동 (217 표)
- 우주 탄생 비밀 밝힐지 주목
9) 중국 쓰촨성 대지진 수십만명 사망 (199 표)
- 지진 일으킨 인도판 한반도 영향 가능성
10) 한반도 대운하 찬반 논쟁 (195 표)
- 기술적 타당성 놓고 논란
<11-23위>
11) 국립과천과학관 개관 (136 표)
- 세계 네 번째 규모 대형 과학관
12) 기상이변, 한국선 장마 실종 (121 표)
- 기상청, 올해부터 ‘장마’ 종료 예보 중단
13) 정부, 녹색성장 정책 발표 (115 표)
- 원전 확대 놓고 공방 가열
14) 정부출연연구기관 구조 개편 시동 (103 표)
- KAIST-한국생명공학연구원 통폐합 논란 등 대두
15) ‘사이버 모욕죄’ 도입 법개정 추진 (99 표)
- ‘네티켓’ 증대에 효과 있나 두고 논란
16) IPTV 서비스 개시 (98 표)
- 양방향 실시간 방송 시작
17) 조류독감 전국으로 확산 (93 표)
- 어린이대공원까지 북상, 닭 오리 대량 살처분
18) 새 정부 과학기술 진흥 ‘577’ 정책 발표 (91 표)
- GDP 5%까지 연구개발 투자 천명
19) 베이징올림픽서 거둔 ‘스포츠과학’ 개가 (91 표)
- 박태환 장미란 금메달의 비결은 첨단기술에 근거한 훈련
20) “황우석 연구계로 복귀하나” 논란 (88 표)
- 애완견 상업복제 첫 성공
21) 중국, 인도 우주개발 경쟁 (88 표)
- 중국 세 번째 우주인 배출, 인도 소형 달 탐사선 발사
22) 국내서 인공 강설 성공(56 표)
- 강원도 대관령 부근서 인공 눈 씨앗 살포해 효과
23)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54 표)
- 유치 지역 놓고 이해 주체 간 설전
- 차근민 기자
- chageunmin@naver.com
- 저작권자 2008-12-1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