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지난해 9월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달 탐사 위성 ‘가구야’를 쏘아 올렸다. 이어 중국도 지난해 10월 달 탐사위성인 ‘창어 1호’를 쏘아 올렸다.
한국도 달 탐사계획을 서두르고 있다.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지난 8일 워커힐에서 열린 서울디지털포럼에 참석, “오는 2017년 1.5톤급 위성을 발사하고 오는 2020년 달 탐사 위성을 쏘아올린 뒤 2025년에는 달 표면에 우리 우주선을 보내겠다"는 달 탐사계획을 밝혔다.
@img10@
최근 발표되고 있는 한국의 달 탐사계획은 오는 2017년 달 탐사위성 1호(궤도선) 개발사업에 착수해 2020년 위성을 발사하겠다던 지난 정부의 ‘우주개발 진흥기본계획’과 비교해 위성 발사체 발사 시점과 달 탐사위성 발사계획을 3년 앞당긴 내용이다.
일본과 중국에 비해 뒤늦게 우주개발에 뛰어든 상황에서 계획대로 국내 기술을 가지고 달 탐사 위성을 성공적으로 쏘아 올릴 수 있을 것인가. 이와 관련해 지난 6일 한국과학기술센터에서는 ‘한국의 달 탐사계획 가능한가?’란 주제로 한경.공학한림원 토론마당이 열려 큰 주목을 받았다.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한국한공우주연구원 백홍렬 원장은 “한국이 기술적인 면에서 앞서 가지는 못하지만 국력에 걸맞을 만큼 극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은 충분히 갖췄다”며 “기술적으로 IT 기술 등 한국의 첨단 기술을 달 탐사계획에 접목시킬 경우 미국 등 선진국 기술과 협력해 ‘최소한 달에 갈 수 있다’는 것이 개인적인 판단”이라고 말했다.
백 원장은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로부터 “130kg 정도의 달 탐사선 개발을 한국이 맡아달라는 제안이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이 달 탐사위성을 쏘아 올릴 경우 위성 내부 소형 위성을 통해 달 착륙을 시도하는 일 역시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 NASA 측 제안”이라며 2025년 달 탐사계획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백 원장은 그러나 달 탐사선을 보내기까지 국민적 동의가 가장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근 국민의 70% 정도가 달 탐사계획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달 탐사선을 보내기까지 비용이 많이 들고, 기술적인 협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확고한 국민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달 탐사계획에 대한 타당성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달 탐사계획의 타당성과 관련, 한국과학재단 장영근 우주단장은 “미국, 러시아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달궤도선 추진시스템은 연료도 많이 먹고, 비용도 많이 들어, 자력으로 기술을 개발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어려운 점이 너무 많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유럽우주개발기구(ESA)가 개발, 지난 2006년 9월 달 착륙에 성공한 탐사선 스마트 1호는 불과 1억2천만 유로(약 1천47억 원)에 불과한 저비용으로 제작했으며, 소모한 크세논 연료량도 80kg에 불과해 차세대 우주선을 위한 성공적인 사례를 제공했다며 “한국이 이처럼 소형 달 탐사선을 개발할 경우 ‘앞으로 5년 내’ 한국형 달 탐사선을 쏘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봇 전문가인 오준호 교수도 한국형 탐사계획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미국, 러시아형 달 탐사계획보다 기존의 미사일, 네비게이션, 인공위성 등의 기술융합을 통해 한국형 달 탐사계획을 추진할 경우 짧은 기간 내 예상보다 10분의 1 비용으로 달 탐사 계획을 달성할 수 있다”며 미국, 러시아에 대한 지나친 기술의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쳤다.이날 주제발표를 한 한양대 버놀드(Leonhard E. Bernold) 교수는 “달 탐사에 있어 핵심적인 과제는 달 기지 건설과 채광”이라고 설명하고 “한국이 스폰서쉽과 건축, IT 기술 등을 활용해 달 탐사계획에 참여하는 일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버놀드 교수는 특히 제주도가 달 탐사 실험을 하는데 적격지라고 말했다. 현무암 지대인 제주도는 표토층이 매우 단단한 달 표면과 매우 유사한 지역이라며 제주도를 활용해 달 탐사와 관련된 실험을 수행할 경우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달 탐사계획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고 위해서는 새로운 과제를 발굴해 추진해나갈 수 있는 창의적인 인력이 매우 필요하다며 달 탐사를 위한 인력 배출을 위해 새로운 커리큘럼을 개발해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토론자로 참석한 교육과학기술부 이문기 거대과학지원관(국장)은 “현재 달 탐사계획과 관련 정부는 기술적인 문제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늦어도 오는 8월말까지 공표하겠다”고 말했다.
- 이강봉 편집기획위원
- aacc409@naver.com
- 저작권자 2008-05-22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