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지구 상상도 (CG) ⓒ연합뉴스TV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지구보다 공전 주기가 긴 장주기를 가지면서도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작은 '슈퍼지구' 외계행성을 발견했다. 또 이런 장주기 외계행성들을 다수 추적해 행성이 각자 다른 과정을 거쳐 지구형(암석형)과 목성형(가스형)으로 형성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28 ⓒ ScienceTimes 태그(Tag) #슈퍼지구 #외계행성 #행성 #행성탐색 관련기사 "기체 응축돼 고체 광물 형성되는 초기 외계행성계 첫 포착" 지구에서 1천300광년 떨어져 있는 100만년도 안 된 어린 별 주위에서 뜨거운 일산화규소(SiO) 가스가 응축돼 행성 재료인 뜨거운 고체 광물 입자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초기 외계행성계가 처음으로 포착됐다. 형성 중인 초기 외계행성계 포착된 1천300광년 밖 어린 별 'HOPS-315' 칠레의 대형 전파망원경 '아타카마 우주에서 온 세 번째 편지: 성간 혜성 3I/ATLAS가 전하는 우주의 비밀 기자 주: 해당 논문은 발견이 불과 며칠전에 이루어진 만큼 아직 동료 심사 및 리뷰 (review) 과정을 통과하지 못한 논문으로 archive에 저장만 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리뷰 과정중에 논문 내용이나 천체에 대한 해석 등 일정 부분 수정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럽 우주국, "우주가 우리에게 온다" - 제임스웹, 110광년 밖 원시행성원반서 준목성급 외계행성 포착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111광년 떨어져 있는 태양 절반 크기의 어린별(TWA 7) 주위 원시행성원반(protoplanetary disk) 속에서 준목성급(sub-Jupiter) 가스형 외계행성을 직접 발견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첫 외계행성.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발견한 첫 외계행성 'TWA 7B&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세계 최초 금성 장기관측 프로젝트 CLOVE를 이끄는 이연주 단장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올려다본 밤하늘. 누군가는 화성의 붉은 신비에 매혹되고, 누군가는 목성의 웅장함에 압도된다. 그리고 해질녘과 새벽을 수놓는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인 금성에 마음을 빼앗기는 이들도 있다. 지구에서 세 번째로 밝은 이 천체 뒤에는 1세기 넘게 과학자들을 괴롭혀온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우주와 천체의 놀라운 비밀들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우리가 상상해 온 우주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인류가 수천 년 동안 바라본 우주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놀라운 비밀들로 가득하다. 우주의 신비는 끝이 없다. 인류가 우주를 탐험할수록 더 많은 경이로운 발견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기술을 통해 우리는 138억 년 "제임스웹, 310광년밖 어린별 주위서 독특한 외계행성 2개 포착" 나이가 1천600만년밖에 안 된 태양형 별 주위에서 대기에 규산염 구름(silicate clouds)이 있는 외계행성과 먼지·가스 등으로 이뤄진 행성 주변 원반(circumplanetary disk) 속에 있는 외계행성이 포착됐다. 규산염 먼지구름이 있는 외계행성(왼쪽)과 행성 주변 원반 속 외계행성 상상도. 1천600만년 된 태양 "태양 5분의1 크기 작은 별 주위서 토성급 거대 외계행성 발견" 수백광년 밖에 있는 태양 5분의 1 크기의 적색왜성(red dwarf.TOI-6894) 주위에서 토성급 가스형 외계행성(TOI-6894b)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작은 별 주위에서 포착된 거대 행성으로 기존 행성 형성 이론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새로운 수수께끼라고 말했다. "태양 5분의 1 크기 별 주위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영화 '스타워즈'에 태양이 2개인 행성으로 등정하는 '타투인'(Tatooine)처럼 갈색왜성(brown dwarf) 2개를 두 별의 공전 면과 수직인 극궤도(polar orbit) 상에서 돌고 있는 외계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두 개의 갈색왜성 주위를 수직 극궤도로 도는 외계행성 상상도. 120광년 밖의 갈색왜성( "웹 망원경, 외계행성 대기중 이산화탄소 처음으로 직접 포착" 130광년 밖 다중 외계행성계 HR8799와 4개의 거대 외계행성. 130광년 떨어져 있는 다중 외계행성계의 중심별 'HR 8799'와 그 주위를 돌고 있는 거대 외계행성 4개(b, c, d, e)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근적외선카메라(NIRCam)로 촬영한 사진. 흰색별 기호는 코로나그래프에 의해 빛이 차단된 중심별 HR 외계행성 3차원 대기 구조 첫 관측…"철-나트륨-수소 바람 확인" 남반구 별자리 고물자리(Puppis) 쪽으로 900광년 떨어진 거대한 기체 외계행성 타이로스(Tylos = WASP-121b)의 3차원 대기 구조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타이로스 대기는 아래부터 철(Fe) 성분 바람과 나트륨(Na) 제트기류, 수소(H) 바람 등 3개 층의 독특한 구조인 것으로 밝혀졌다. 외계 행성 타이로스 대기의 3D 구조. 남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새의 성염색체 균형을 유지하는 미스터리가 풀리다 생성형 AI 미래, 한국형 기술자립 전략을 묻다 우울증 환자의 뇌 분석해 스트레스 저항 유전자 밝혀 콜레라의 재출현: 분쟁 지역에서 급증하는 치명적 수인성 질병 "유인원도 사회적 지능 있다…마음속으로 동료 등 정보 추적"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무궁화 탄소흡수계수 개발…탄소흡수량 사철나무의 7배 "70세 전 청력손실 시 보청기 사용하면…치매 위험 61%↓" 속보 뉴스 "체온으로 전기 만들어 기기 작동"…UNIST, 새 전지 개발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GIST 공동연구팀 "북극 해빙 가속화, 에어로졸도 영향" '얽힌 빛'으로 초정밀·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센서 첫 구현 UNIST "양자통신 기반기술에 활용 가능한 나노 광소자 개발" 발열 섬유 이용해 저전력으로 이산화탄소 포집…95% 회수 물위 달리는 소금쟁이 비밀 풀었다…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