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 프로젝트에 투입된 빛 포착 기기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주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가 45억년 전보다 약해졌다는, 기존 이론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암흑에너지 분광 장비(DESI) 프로젝트를 통해 암흑에너지가 약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3-25 ⓒ ScienceTimes 태그(Tag) #DESI #암흑에너지 #우주 #우주팽창 관련기사 우주 속 암흑물질 후보 '액시온' 탐색 영역 넓혔다 고질량 액시온 탐색을 위한 공진기 구조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 암흑물질액시온그룹 윤성우 CI(그룹장) 연구팀은 우주 속 암흑물질 후보인 '액시온'(Axion)을 찾기 위한 실험에서 고질량 영역까지 탐색 영역을 넓혔다고 28일 밝혔다. 우주의 85%를 차지하는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광복절 특집]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과학기술 자립의 상징, 30년간의 우주개발사 "방금, 지구의 맞은편에서 저녁 하늘 한가운데로 힘차게 솟아오른 우리 '과학위성'의 찬연한 불꽃은 겨레의 반만년 역사에 '우주시대'가 새로이 열렸음을 알리는 서광이었습니다."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이 국민에게 전한 이 메시지는 한국 과 우주진화 비밀 풀리나…'별 없는 은하' 후보군 무더기 발견 암흑은하 후보 A215217의 가시광 컬러 영상(왼쪽)과 중성수소 관측을 통해 얻은 스펙트럼(오른쪽) ⓒ서울대학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우주 진화를 설명하는 열쇠로 꼽히는 '암흑 은하' 후보군을 무더기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황호성 물리천문학부 교수 연구진이 미국 국립전파천문대(NRAO) 윤일상, 브라이언 켄트 박사와 함 韓 초등생 우주 꿈, ISS서 생중계됐다…"큰 한 걸음 될 것" ISS에서 '우주의 비밀 열쇠, 우주의 돌' 그림 소개하는 페기 윗슨 사령관. 촬영 조승한 ⓒ연합뉴스 제공 "김찬율, 김준 학생의 '우주의 비밀 열쇠, 우주의 돌'입니다. 우주 역사와 진화 정보가 담긴 행성의 돌을 모아 박물관을 만들었네요." 5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 우주에서 온 세 번째 편지: 성간 혜성 3I/ATLAS가 전하는 우주의 비밀 기자 주: 해당 논문은 발견이 불과 며칠전에 이루어진 만큼 아직 동료 심사 및 리뷰 (review) 과정을 통과하지 못한 논문으로 archive에 저장만 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리뷰 과정중에 논문 내용이나 천체에 대한 해석 등 일정 부분 수정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럽 우주국, "우주가 우리에게 온다" - "은하단 사이 거대 가스 필라멘트 발견…우리은하의 10배 질량" 은하단(cluster) 수십 개가 뭉쳐있는 우주 거대구조인 섀플리 초은하단(Shapley Supercluster)에서 우리은하(Milky Way) 질량의 10배나 되는 뜨거운 가스가 끈처럼 펼쳐져 있는 거대한 필라멘트 구조가 발견됐다. "은하단 연결 거대 가스 필라멘트 발견…우리은하의 10배 질량" 6억5천만 광년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세계 최초 금성 장기관측 프로젝트 CLOVE를 이끄는 이연주 단장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올려다본 밤하늘. 누군가는 화성의 붉은 신비에 매혹되고, 누군가는 목성의 웅장함에 압도된다. 그리고 해질녘과 새벽을 수놓는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인 금성에 마음을 빼앗기는 이들도 있다. 지구에서 세 번째로 밝은 이 천체 뒤에는 1세기 넘게 과학자들을 괴롭혀온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우주와 천체의 놀라운 비밀들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우리가 상상해 온 우주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인류가 수천 년 동안 바라본 우주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놀라운 비밀들로 가득하다. 우주의 신비는 끝이 없다. 인류가 우주를 탐험할수록 더 많은 경이로운 발견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기술을 통해 우리는 138억 년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2) 이전 기사 바로 가기: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1) '우주 자립'을 향한 유럽의 의지는 더욱 단단해지고 있다 ESA는 지난 반세기 동안의 경험과 성과를 토대로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전략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핵심은 바로 '우주 자립'이다. 과거 미국이나 러시아의 기술과 인프라에 의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1) 우주 과학의 프론티어를 개척한 성과의 연속 1975년 유럽 각국은 흩어진 우주 개발 역량을 하나로 모아 '유럽우주국(ESA: European Space Agency)'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 역사적인 결정은 단순한 협력을 넘어 과학기술의 통합과 유럽의 자주적인 우주 진출을 향한 강력한 의지를 상징했다. 당시 ESA의 전신이라 할 수 있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모닝커피의 마법? 카페인 ‘골든타임’ 아침으로 밝혀져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없어진 눈을 통째로 다시 만드는 달팽이의 재생 능력 꿀벌 살리기 대작전 '버섯 살인마'의 완전범죄 시도? 아프리카 청년들이 외롭다?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납 없는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웨어러블 혈압계 등 적용" 암세포 DNA만 골라 제거한다…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폐PET 재활용해 CO₂잡는다…"고효율 포집 소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독성연 "BPA 대체물질에도 독성…예쁜꼬마선충 통해 규명"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김치서 찾은 유산균, 궤양성 대장염 증상 잡는다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