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개발, 달 탐사, 인공위성 개발 등과 관련된 대한민국 우주기술개발 로드맵이 확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정부과천청사에서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해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과 함께 ‘2017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는 ‘우주개발진흥법’ 제6조에 근거한 ‘국가우주위원회’ 산하 민관 합동위원회다.
이날 위원회가 발표한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은 우리나라 우주기술 현황 분석, 우주개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중점기술과 전략 등을 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한국형발사체 개발(2,200억원), 달 궤도선 상세설계 착수 등 달 탐사 본격 추진(710억원), 인공위성 독자개발(2,184억원) 등 관련 기술 개발에 올해 6천703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번 로드맵은 지난 2014년부터 2040년까지 추진될 예정인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2016년 12월 제11회 국가우주위원회에 보고된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추진현황’의 최종 결과물이다.
미래부는 중장기 계획에 제시된 2030년까지의 임무 달성에 필요한 수요기술 754개를 먼저 선정하고, 이 중 시급성, 경제성, 중요성 등을 고려해 200대 중점기술을 확정했다.
향후 미래부는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출연연 주요사업 등의 신규과제 기획에 이번 로드맵을 반영해 관련 예산 확보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이날 위원회는 2017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도 함께 의결했다.
각 시행계획은 우주위험에 UN 등 국제기구와 공동대응하기 위한 협력, 위성 정보의 효과적 활용을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 우주개발사업의 산업체 참여 확대와 우주제품 수출 지원 등을 통한 우주산업 경쟁력 제고 등을 주요 골자로 한다.
홍남기 미래부 제1차관은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수립이 주요 우주 선진국에 비해 늦었지만, 우주 분야 핵심 기술력 확보의 기틀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에도 우주개발에 대한 장기적 비전과 도전정신, 확실한 목표의식을 갖고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장미경 기자
- rose@kofac.re.kr
- 저작권자 2017-02-23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