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심혈관센터 박영배 교수팀은 실험용 생쥐의 피부 및 심장 섬유모세포에 배아줄기세포 단백질을 처리한 결과 배아줄기세포의 특성을 가진 '만능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만능줄기세포는 생체를 구성하는 세포로 분화됐으며 특정 조건에서는 심장근육세포로 자라 박동을 보였다고 교수팀은 말했다.
연구팀은 만능줄기세포를 포배(blastocyst)에 이식한 뒤 다른 세포의 특성을 가진 성체키메라(adult chimera) 쥐를 만들어 체세포로 생명체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일반적인 만능줄기세포 배양방식은 유전자를 조작하면서 키메라쥐에서 종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교수팀은 유전자 조작 대신 단백질 처리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자의 일반 체세포를 배아줄기세포 수준의 만능줄기세포로 만들어 다시 원하는 심장세포, 혈관세포, 신경세포 등으로 분화시킴으로써 본인의 세포로 손상된 장기를 치료하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논문은 혈액학 권위지인 '블러드'(Blood) 7월호에 게재됐으며 국내외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김효수 교수는 "치료 대상 환자의 세포로 줄기세포를 만들어 면역거부반응이 없는 차세대 세포치료법의 기초를 확립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인간세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특정 세포로 분화시키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고 말했다.
- (서울=연합뉴스) 김세영 기자
- thedopest@yna.co.kr
- 저작권자 2010-07-30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