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암 검진장비인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에 첨단 반도체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 PET'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핵의학과 최용 교수팀은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기존 진공관을 첨단 반도체로 대체한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PET는 양전자를 방출하는 동위원소가 함유된 물질을 환자에게 주사한 뒤 외부 스캐너 장비를 이용해 몸속을 속속들이 들여다볼 수 있는 기기로, 주로 종양이 양성인지 악성인지, 암이 전이됐는지, 암치료 후의 효과가 있는지, 심혈관질환의 유무 등을 판단할 때 사용된다.
이번에 최 교수팀이 개발한 새 PET 장비의 특징은 국내 첨단 반도체 기술을 접목했다는 점이다.
기존 PET는 영상을 촬영할 때 부피가 크고 수작업으로 만들어야 했던 진공관 방식을 썼지만, 이번 장비는 `실리콘 광증배 방식의 광센서'를 이용한 반도체가 도입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최 교수는 "기존 PET는 진공관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제작비가 높고 MRI(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와 결합시킨 `PET-MRI'를 구성하는데 기술적 제약이 많았다"면서 "이번 제품은 반도체 기술을 접목시켜 제작비용을 크게 줄인 것은 물론, PET-MRI 개발에 가장 앞선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현재 최 교수팀이 만든 PET는 직경 330㎜ 규모여서 기존 장비처럼 전신을 촬영할 수는 없고, 뇌영상 촬영 등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다.
하지만, 이를 전신 촬영용으로 확대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고 최 교수는 주장했다.
특히 이번 제품에 들어간 의료용 광센서 반도체는 외국산이 사용됐지만, PET-MRI 등으로 확대 적용하는 단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제품 개발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 교수는 "모의 뇌영상 실험 결과 기존 PET와 비슷한 수준의 영상을 획득해 영상적 품질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세계적 의료기 회사에서도 PET-MRI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번 제품 정도의 기술적 성과를 보인 곳은 없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개발 성과는 최근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2009년 국제전기전자학회 의료영상컨퍼런스'에 프리미엄 논문으로 채택돼 발표됐으며, 연구팀은 국내외에 특허를 출원했다.
- (서울=연합뉴스 제공) 김길원 기자
- bio@yna.co.kr
- 저작권자 2009-12-14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