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과학기술원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심장세포 유전자시스템 지도를 완성했다.
1일 광주 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김도한(56)교수 연구팀은 최근 심장세포 유전자가 발현되는 과정을 분석해 다수의 새로운 유전자군(cluster)을 발견하고 이들이 특수한 전사인자(형질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일종)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세계최초로 규명했다.
이 성과는 심장 유전자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을 도와 심장병 원인규명과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 교수팀은 심장세포에서 발현되는 다수의 유전자를 대상으로 381 가지의 '마이크로 어레이'(유전자들이 어떤 양식으로 상호작용 하는지를 밝히는 연구방법의 하나) 전사체 데이터를 새로운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57개의 새로운 유전자군을 발견했으며 이들이 특수한 전사인자들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김 교수는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시스템생물학연구사업을 수행했으며 연구결과는 옥스퍼드 출판사가 발간하는 생명정보학 분야 저명 학술지 바이오 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인터넷판 6월호에 실렸다.(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광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저작권자 2006-08-01 ⓒ ScienceTimes
관련기사